사회 사회일반

'자전거 고속도로' 서울에 생깁니다

박원순 "자전거로 사통팔달 "

차량·보행자와 물리적으로 분리

문정·위례 등 5곳에 조성 추진

서울시 CRT 구상. /자료제공=서울시서울시 CRT 구상.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자전거 급행도로’ 도입을 추진한다. 기존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차도와 별반 구분이 없어 위험하다는 점에서 차로를 과감히 줄여 자전거도로와 분리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문정·위례 등 5개 도시개발지구를 ‘자전거 특화지구’로 조성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현지시간)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클로비아’를 방문해 “사람 중심의 자전거 혁명을 이루겠다”며 “서울을 사통팔달로 연결하는 자전거하이웨이(Cycle Rapid Transportaion, CRT)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클로비아는 총 120㎞ 구간의 도로를 매주 일요일마다 보행자·자전거 이용자를 위해 개방하는 세계 최대의 ‘차 없는 거리’다.

관련기사



서울시 CRT 구상./자료제공=서울시서울시 CRT 구상./자료제공=서울시


기존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CRT의 차이는 차량·보행자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는 점에 있다. 기존의 자전거도로는 차로와 공동으로 사용되거나 전용도로라고 하더라도 차로 한 귀퉁이에 완벽히 분리되지 않아 안전 문제가 있었다. 서울시는 차도와 자전거도로 사이에 노상 주차장을 설치하는 방식이나 아예 차도 상부에 자전거만 통행할 수 있는 고가 자전거도로를 만드는 방식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한강 다리에도 자전거도로망이 설치된다. 가양·원효·영동대교 등은 주변의 관광자원과 연결해 나들이에 특화된 도로망이 구축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교량 구조물 개선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문정·마곡·항동·위례·고덕강일 등 5개 도시개발지구는 ‘생활권 자전거 특화지구’로 조성된다. 총 72㎞에 달하는 자전거도로를 만들어 비율을 4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차 없는 거리’도 확대된다. 도로 중심의 기존 사업을 지역 단위로 확대한다. 이태원 관광특구·남대문 전통시장·강남 코엑스 확장이 유력하다. 잠수교·광진교 등 한강교량도 정례적으로 ‘차 없는 다리’로 운영될 계획이다. 서울시는 아직 구상단계에 있는 이번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올 하반기 3억원을 들여 타당성 용역을 실시한다. 박 시장은 “‘이동권은 시민의 기본권’이라는 원칙 아래 자동차 위주로 설계된 서울의 교통 체계를 보행자·자전거·대중교통 중심으로 재편하는 보행친화도시 신전략을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중남미를 순방하고 있는 박원순(오른쪽) 서울시장이 14일(현지시간)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클로비아’ 현장에서 시민들과 자전거를 타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중남미를 순방하고 있는 박원순(오른쪽) 서울시장이 14일(현지시간)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클로비아’ 현장에서 시민들과 자전거를 타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