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인종차별 트윗, 규정위반 아니다?...자가당착 빠진 트위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민주당 내 유색 여성 하원의원 4명을 겨냥해 “원래 나라로 돌아가라”는 트윗을 올려 인종 차별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캡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민주당 내 유색 여성 하원의원 4명을 겨냥해 “원래 나라로 돌아가라”는 트윗을 올려 인종 차별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캡처



트위터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종 차별적 트윗이 자사의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15일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브랜든 보르먼 트위터 대변인은 “문제의 트윗이 트위터의 규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위터는 정치인 등과 같은 지도자들이 자사의 규정을 위반한 트윗을 올릴 경우 문제의 트윗을 지우지 않고 트윗에 표지(label)을 붙이겠다고 지난달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조치는 트위터의 일반 사용자에 적용되는 것과 비교했을 때 훨씬 너그러운 조치다. 트위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에 표지를 붙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미국 민주당 내 유색 여성 하원의원 4명을 겨냥해 “원래 나라로 돌아가라(go back)”는 트위터를 올렸다. 이들 4명은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뉴욕), 라시다 틀라입(미시간), 일한 오마르(미네소타), 아이아나 프레슬리(매사추세츠) 의원으로 모두 이주자이거나 이주자 가정 출신이다.

WP는 트위터의 이러한 입장이 트위터가 내세운 새로운 정책이 빠진 곤경을 보여준다는 연구자들의 시각을 전했다. 트위터는 “인종이나 민족성, 민족적 뿌리, 성적 지향, 젠더 정체성, 종교, 나이, 장애 또는 심각한 질환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직접 공격하거나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정책을 명시해놓고 있다. 미디어정의네트워크 창립자인 드비치 시릴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명백히 인종차별적임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그들이 인종차별적 공격으로부터 그들의 플랫폼과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보다 트럼프의 분노가 더 두렵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남부 빈곤법센터의 하이디 바이릭 국장은 “이것(대통령 트윗)이 그들의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은 명백하다”며 “적어도 표지를 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