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낙동강생물자원관 식용 곤충병 방제기술 민간이전

경북 상주시에 있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식용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굼벵이)에 주로 나타나는 진균성 병해인 녹강병균과 백강병균의 방제에 탁월한 특허 기술을 경북 예천군에 있는 그린에듀텍 영농조합법인에 이전하는 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전하는 특허 기술은 곤충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미생물(조성물)을 이용해 방제하는 것으로 올해 6월 28일 특허 등록됐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농가에서 식용 곤충을 사육하다가 발생하는 병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담수 미생물을 활용한 식용 곤충병 방제용 균주(바실러스 아밀로리퀴에파션스)를 개발했다.

식용 곤충은 지난 2014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한시적 식품원료로 등록된 이후 2016년에 정식으로 식품원료로 등록됐지만 곤충병 방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에 특허 등록된 균주는 식용 곤충에 발생하는 녹강병과 백강병에 대해 각각 83.3%, 73.3%의 방제 효과를 보인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균주를 일정 농도로 배양하고 식용 곤충의 먹이인 참나무 톱밥에 전체 부피의 1%가 되도록 첨가하고 10일간 발효시킨 뒤 녹강병과 백강병 포자를 인공적으로 접종하고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의 치사율을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입증했다.

이번 특허기술 이전 사례는 공공기관의 연구 성과를 민간, 특히 연구 능력이 필요한 영농조합법인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 농민들이 곤충을 사육할 때 곤충병을 방제할 방법이 없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선제 대응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서민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되돌리는 연구기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