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건보 국고지원 비율 20%로 늘려야”

윤일규 의원 개최 토론회

"文케어 확대로 지출 증가

건보 재정적자 보전 필요"

윤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국고지원 확대를 위한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형선(왼쪽부터)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 김정우 민주당 의원, 윤 의원, 김진현 서울대 간호학과 교수. /사진제공=윤일규 의원실윤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국고지원 확대를 위한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형선(왼쪽부터)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 김정우 민주당 의원, 윤 의원, 김진현 서울대 간호학과 교수. /사진제공=윤일규 의원실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고지원 비율을 현행 11.4%에서 20%까지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23일 여당에서 나왔다. 관련법 규정에 따라 국고지원 비율을 20%로 올릴 경우 지난 2018년 기준 7,071억원의 국고지원금은 5,352억원 증가해 1조2,423억원으로 늘어난다.

윤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국고지원 확대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 여당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았다. 민주당은 현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발맞춰 국고지원 비율을 20%까지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해찬 대표와 이인영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각각 “현재 국고지원 비율 13.3%를 법정 국고지원 비율인 20%로 확대해 건강보험 재정적자를 보전해야 한다” “대만·벨기에·프랑스 등 국고지원율이 20%를 넘어서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제시한 건강보험 보장률인 70%를 맞추기 위해 국고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강보험 보장률은 환자의 전체 의료비 대비 건강보험 부담비율을 말하는데 건강보험 부담분은 보험료 기여분과 국고지원금으로 구성된다. 2017년 기준 62.7%에 불과한 건강보험 보장률을 7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분자 부분인 국고지원금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문재인케어 확대’로 인한 의료비 지출 급증 역시 국고지원 확대의 근거로 들었다. 이날 발표를 맡은 정형선 연세대 교수는 “문재인케어를 이행할 시 비급여 항목의 급여화, 서비스 이용량 증가로 인해 분모 부분이 급증한다”고 주장했다. 즉, 건강보험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에 전체 의료비 지출 규모가 커진다는 것이다. 분모 부분이 커지는 데 맞춰 국고지원금을 늘려야 70%의 보장률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이다.

다만 20조원 규모로 쌓인 누적 적립금은 국고지원금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 교수는 “국고는 항상 재원 부족에 시달린다. 누적 지원금이 큰 경우 국고로부터 건보에 지원을 늘릴 긴급성을 줄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누적 적립금을 1개월 남짓 지출에 해당하는 10조원 수준으로 낮아질 때까지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