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친일작가 자료도 수집·보존해야"

염무웅 국립문학관장 기자간담

"국가·민족주의 지나친 강조는

문학 보편적 가치선 조금 과도"




“우리는 반제·반식민지 투쟁이 문학관에 너무 강조돼 있습니다. 국가주의와 민족주의 요소가 과도하게 강조되는 것은 오늘날 문학의 보편적 가치라는 기준에서는 조금 과도합니다.”

염무웅(사진) 국립한국문학관 초대 관장은 24일 서울 광화문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친일 작가 문제와 관련해 “자꾸 문제가 되는 게 친일 얘기인데, 친일 작품도 친일 내용을 알기 위해서라도 수집하고 보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염 관장은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 문학을 평가하는 기관이 아니라 수집·연구가 일차적 기능이므로 모든 작품을 수집하고 보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표적 친일 작가로 소설가 장혁주와 평론가 김문집을 들면서 “그런 경우도 자료를 수집해 후일 연구에 대비해야 한다”며 “그런 반민족적 행태가 나타나는 것을 대비해서 오히려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염 관장은 이어 “그 문제보다는 한국 문학의 범주를 어떻게 할지가 자료 수집에서 더 중요한 내용”이라며 외국으로 이주한 작가들, 이민자 2·3세들의 문학을 한국 문학에 포함할지, 우리 작가들 작품의 번역본을 어디까지 어떻게 수집할지 등이 난제라고 설명했다.

염 관장은 국립문학관의 독립성 문제와 관련해 “괜찮은 장관이나 정부가 있다면 ‘문학을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말로는 그렇게 하지만 어느 나라나 조금 (상황이) 그렇다”면서 “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뜻을 모으고 문학관 내부의 관장을 비롯한 직원들이 단합돼 독립성 유지에 애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염 관장은 러시아 푸시킨문학관처럼 국립한국문학관에도 교육·연구기관인 ‘문학원’을 설치하는 방안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국립문학관은 서지학자인 하동호 전 공주대 교수가 기증한 5만5,000본의 자료를 기반으로 초반 운영을 진행하면서 내년까지 예산 25억원을 들여 주요 자료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국립문학관은 최근 법인 등기를 마치고 창립 이사회를 열어 본격적인 첫걸음을 뗐다. 문학관 청사 건립 완공은 오는 2023년 9월께, 개관은 2023년 12월께로 계획하고 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