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인터뷰]"소비자 이동 편익이 우선...차량호출 허용돼야"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소장

택시 불만 가진 소비자들 변화 원해

플랫폼 운송서비스로 일자리 창출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 /박현욱기자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 /박현욱기자



“플랫폼 사업자와 택시 간 갈등은 양측이 한 발 한 발 해법을 찾아가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편익을 위해 플랫폼을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가 허용돼야 합니다.”


이재호(사진)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은 최근 서울 홍릉 콘텐츠진흥원 인재컴퍼스에 열린 ‘스마트 모빌리티’ 강연 후 본지와 만나 “대표적 글로벌 차량호출 서비스 우버가 기존 택시시장을 뒤흔든 것처럼 우리도 변화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소장은 “미국 등 우버가 허용된 국가에서는 우버가 친절하고 안전한 이동 시스템으로 인식된다”며 “전 세계 플랫폼 사업이 가능한 규모의 나라 중 유일하게 우리 시장에만 우버가 들어올 수 없다”고 말했다.


자동차만 빌려 쓰는 ‘카 셰어링’과 달리 소비자와 이동서비스 사업자를 연결해 운전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차량호출(라이드 헤일링)’은 국내에서 제한돼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17일 플랫폼 운송사업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택시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는데 플랫폼 사업자가 사실상 줄어든 택시 수만큼만 운영할 수 있게 해 차량호출 서비스의 장벽이 완전히 걷힌 것은 아니다. 카카오는 카카오플랫폼을 통해 동선이 같은 이용자가 차를 탈 수 있는 서비스 ‘카카오T카풀’은 아직 재개하지 않고 있고 승객과 기존 택시를 연결만 하는 중개 애플리케이션 ‘카카오T’ 는 이익률이 높지 않다

관련기사



그는 “차량호출이 본업인 플랫폼 기업은 이용자를 연결해 매출을 올려야 하는데 길이 막혀 있다”며 “현재 택시중개를 통해 얻는 빅데이터도 사업 성장성이 크다는 의견이 있지만 부수적인 것보다 업의 본질에서 매출을 일으키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택시 개편방안에 대해 이 소장은 “택시와 플랫폼 기업 간 갈등 속에서 나온 타협안이지만 기존 택시에 불만을 가진 소비자들은 변화를 원한다”며 “변화 과정에서 택시사업자의 이익을 보전해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이어 “정부 안처럼 플랫폼 운송 사업자가 이익 일부를 환원해 택시기사의 복지·후생 등을 도모하고 기존 택시 면허권을 사들이는 데 쓰는 것이 시장변화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이 소장은 현대차동차·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 등을 거쳐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로 자리를 옮긴 모빌리티 분야의 전문가다.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플랫폼 운송 서비스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무엇보다 소비자의 편의성이 가장 큰 방향이 돼야 하고 이에 맞춰 규제도 풀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