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동남권 민선 7기 1년]'창원·진주·김해' 강소특구 지정..제조업 R&D 거점으로 키운다

■ 동남권 민선 7기 1년

전국 6곳중 경남이 절반 차지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 기대

3115B04 연구개발



경남도는 지난 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하는 강소연구개발특구사업에 창원·진주·김해 3곳이 선정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총 6곳 중 절반을 차지하면서 침체된 지역경제의 활로를 마련하는 것은 물론 제조업 혁신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일본의 첨단소재 수출 규제로 관련 부품의 국산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제조업의 새로운 도약을 뒷받침할 연구개발(R&D) 성과의 기술사업화 거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는 평가다.

경남도에서는 3곳의 강소연구개발특구를 기계·조선 등 주력사업의 부진으로 어려운 지역 제조업과 지역경제를 다시 일으키기 위한 제조업 혁신의 새로운 동력이자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워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존의 까다로운 연구개발특구 지정 방식에서 벗어나 혁신역량을 갖춘 곳이면 규모에 관계없이 특구로 지정할 수 있도록 ‘강소특구(InnoTown) 모델’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성과 사업화 및 창업지원을 통해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혁신클러스터를 육성,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위한 우수기술 발굴과 기술수요자·공급자 간 연계 및 사업화 지원, 연구소 기업, 우수 아이디어·기술기반 기업 등의 창업·성장과 함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국내 기계산업의 메카인 창원을 지능전기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첨단산업 및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전환해 ‘지능 전기기계 신산업 창출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R&D 융합 성과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해 지역산업혁신을 가속화하고 다시 지역성장의 재도약을 이끄는 선순환 구조로 운용한다는 전략이다. 도에서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통해 고용유발효과 268명, 부가가치유발효과 275억원, 생산유발효과 842억원과 함께 전·후방 연관산업분야 집적으로 부가가치유발효과 2,424억원, 고용유발효과 2,857명, 생산유발효과 5,268억원 등을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최대의 항공산업(항공우주부품·소재산업) 집적지인 진주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술이전·시제품제작·시험 및 인증·생산까지 가능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경상대가 중심이 돼 경남항공국가산업단지까지 활용하는 특구를 조성해 항공우주부품산업의 글로벌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항공산업은 최첨단 기술이 융복합된 고부가가치 창출형 미래 신성장 핵심산업으로 친환경·고효율을 위한 재료 경량화 및 고강도 소개 개발이 필수적으로, R&D 융합지구(혁신도시클러스터) 참여기관과 기술핵심기관(경상대), 기술사업화지구(항공국가산단) 업체의 연계를 통해 성과를 확산해 나갈 전망이다. 도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통해 고용유발효과 278명, 부가가치유발효과 261억원, 생산유발효과 867억원을 기대하고 있으며 전·후방 연관 산업분야 집적으로 부가가치유발효과 1,207억원, 고용유발효과 1,336명, 생산유발효과 2,627억원을 예측하고 있다.

김해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국내 최초 의생명 특성화 대학인 인제대와 김해의생명센터를 활용해서 추진된다. 김해 지역은 의생명 분야 연구기관 28개가 집적돼 있어 인재대 부속병원과 연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는 인제대의 첨단 의료 신기술을 김해의생명센터와 기업들에게 지원, 기술고도화와 공장설립을 유도하는 등 기업 활성화 및 의생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통해 고용유발효과 232명, 부가가치유발효과 268억원, 생산유발효과 761억원 및 전·후방 연관 산업분야 집적으로 부가가치유발효과 2,551억원, 고용유발효과 2,930명, 생산유발효과 6,551억원을 전망하고 있다.

경남도는 강소특구 지정을 통해 지역혁신 주체인 산·학·연·관이 협력하고 기술창업과 중소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해 혁신성장, 지역산업 발전의 기반이 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창원국가산단의 스마트산단 선도프로젝트와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강소특구가 성공적인 모델로 정착될 수 있도록 취득·재산세 등 지방세 감면을 위한 조례개정과 경남도 차원의 지원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김경수 지사는 “강소연구개발특구를 통한 R&D 강화로 소재산업 생태계를 새롭게 갖춰 대한민국 제조업 혁신과 소재부품산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창원=황상욱기자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