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경화 "美도 日 결정에 많은 우려"...美 한일경제전쟁 중재역 관심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종료

康 "日에 즉각 철회 요구"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가운데),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방콕=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가운데),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방콕=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일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과 관련 “미국도 이 상황에 대해서 많은 우려를 갖고 있고 앞으로 어렵지만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지 할 역할을 다하겠다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이뤄진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일본의 대(對)한국 보복 조치와 관련한 미국의 입장을 공개했다.


그는 “이번 일측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에 대해서 강한 유감 표명을 전달했다”면서 “즉각 철회 그리고 협의를 통해서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대화에 나오라는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사태가 있기 전까지 우리가 끝까지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풀자는 이야기를 전했고 미국도 같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만, 상황이 이렇게 된 데 대해서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 측이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하고 즉각적인 이런 조치들의 철회, 그리고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경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일본이 현상동결 합의(standstill agreement)를 거부했는데 새로운 안이 논의됐느냐’는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이날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 국가목록)에서 제외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외교 전문가들은 미국이 적극적으로 양국의 중재를 원했다면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는 애초에 시작도 안 됐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역할에 대한 회의론도 커지고 있다. 미 조야의 확전 자제 메시지에도 일본이 한국의 화이트리스트를 제외한 것은 미일 간에 이미 사전 교감이 있었다는 증거라는 지적이다.

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좌)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우) 일본 총리가 지바현 모바라시에 있는 한 골프장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좌)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우) 일본 총리가 지바현 모바라시에 있는 한 골프장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실제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라는 중대 분수령을 하루 앞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등 한일 양국에 영향력이 큰 미 유력인사들은 한일관계 악화의 해결을 희망하면서도 갈등을 푸는 것은 양국의 몫이라며 선을 그은 바 있다.

박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정부는 한일갈등을 미 워싱턴 D.C로 우리 인사를 파견해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면 될 것이라는 구상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순진한 생각”이라며 “일본의 극단적 선택을 돌리는 방법은 결국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진정성 있는 해법을 마련하는 길 외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에서 일본의 추가 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카드로 미국의 대중(對中) 봉쇄전략의 핵심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가 거론되고 있는 만큼 미국이 한일갈등을 물밑에서 관리할 것이라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