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日 '평화의 소녀상' 전시 중단...스스로 표현의 부자유 선언하나

한일갈등 극으로 치닫나 '평화의 소녀상' 전시 중단

지난 1일 개막한 아이치트리엔날레 특별전

'표현의 부자유' 주제로 기획전...전시 전체 중단

지난 1일 일본 나고야에서 개막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출품된 김운성,김서경 작가의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지난 1일 일본 나고야에서 개막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출품된 김운성,김서경 작가의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면서 한일 갈등이 최고조로 치달은 가운데 일본 최대의 국제미술제에 출품된 ‘평화의 소녀상’ 전시가 행사 개막 사흘 만에 전격 중단됐다.

3년제 국제미술제인 아이치트리엔날레 측은 3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과 오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 지사의 일방적인 통보로 ‘표현의 부자유, 그 후’ 전시가 오늘 오후 6시를 기점으로 중단됐다”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김운성·김서경 작가의 ‘평화의 소녀상’을 비롯해 안세홍 작가의 위안부 피해자 사진, 조선학교 학생의 그림 등 미술제 기획전으로 마련된 ‘표현의 부자유, 그 후’ 출품작 전체의 전시가 4일부터 중단된다.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 ‘표현의 부자유’는 그간 외압과 제재로 제대로 전시되지 못했던 작품들을 한 자리에 모아 선보인 특별전이다. 지난 1일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아이치현문화예술센터에서 개막했고, 이를 계기로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 내 공립미술관에서는 처음으로 전시될 수 있었다. ‘평화의 소녀상’은 앞서 지난 2012년 도쿄도립미술관 전시를 통해 20cm 크기의 모형 소녀상이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정치적 표현물’이라는 이유로 철거된 바 있다.


그러나 전시가 개막된 후 ‘평화의 소녀상’을 비롯한 위안부 관련 작품들이 주목을 끌자 일본 정부가 예민한 반응을 드러냈다. 일본 중앙정부는 이번 행사의 보조금 내역을 조사하겠다고 밝혔고, 나고야시장을 비롯한 지자체장까지 합세해 전방위 압력을 가했다. 일부 일본인 관객들의 호의적인 관람 태도도 있었지만 우익 성향 시민들의 거세게 집단 항의를 해 결국 사흘 만에 전시 전체가 문을 닫게 됐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전시를 준비한 큐레이터들과 참여 작가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중단 통보를 받은 큐레이터들은 일본 정부와 아이치현 측에 항의문을 보내겠다는 입장이다. ‘평화의 소녀상’의 조각가 김운성은 이에 대해 “어제부터 이야기가 돌아서 걱정됐다”면서 “일본이 그런 사회라 안타깝다”고 심경을 전했다. 그는 “소녀상 철거는 일본 스스로 ‘표현의 부자유’를 선언한 것이나 다름없다”라며 “일본에서 함께 전시를 진행한 분들과 연락하면서 향후 계획을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중단된 ‘표현의 부자유, 그 후’ 전시를 제외한 아이치트리엔날레 본전시는 오는 10월14일까지 열린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