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시그널] "日 투자자산 현황 점검하라"... 한일 경제 전쟁에 연기금도 '긴장'

일부 LP, GP에 투자 포트폴리오 기업 및 자산 위험성 확인요청

일본 오피스텔 투자 진행하던 증권사도 투자 전면 보류

한일관계 경색으로 코스닥 지수가 종가기준 4년 7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 설치된 조형물에 코스닥 지수 종가가 나타나 있다. /연합뉴스



한일 경제 전쟁이 본격화 하고 있는 가운데 연기금 등 유한책임출자자(LP)들이 일본 관련 투자 자산에 대한 집중 점검에 나섰다. 일본으로부터 원료를 조달받거나 일본을 주요 사업대상으로 삼는 기업 및 자산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7일 투자은행(IB)에 따르면 일부 LP들이 자신들이 출자한 사모펀드운용사(PE), 벤처캐피탈(VC) 등 무한책임투자자(GP)에 투자자산의 일본사태 관련 위험성을 점검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LP들은 일본발(發) 악재에 따른 자산 영향을 크게 나눠 두 가지로 보고 있다. 우선 코스피·코스닥의 주가하락에 따라 주식수익률이 악화 될 수 있다. 주요 LP들은 운용자산 중 10~40%를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경우 4월 기준 총 투자금액 중 38%를 국내외 주식에 투자했다. 만료기간이 다가온 펀드에서 투자한 기업들이 부실화되는 경우도 LP 수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펀드 청산을 목전에 앞두고 투자 포트폴리오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 될 경우 투자자금 회수 및 수익률 확보가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이다. LP들도 이 같은 점을 우려해 일본발 악재 영향 여부를 검토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최근에는 반일 여론 등으로 투자 대상 선정에 신중한 기관들도 나오고 있다. 교직원 공제회는 일본 종합상사가 조성한 글로벌 인프라펀드 출자를 보류한 바 있다. LP는 아니지만 해외 대체투자처를 찾는 증권사들 사이에서도 일본 투자는 일단 재검토하는 분위기다. 최근 A증권사는 국내 운용사와 함께 약 1,000억원 규모의 일본 오피스텔 투자를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 투자를 보류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국내 여론 악화 및 불확실성으로 일본 부동산 투자를 보류했다”며 “말도 안되는 (높은) 수익률이 아닌 이상 쉽게 투자를 결정하기 어려운 게 현재 업계의 분위기”라고 전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발 악재가 IB 업계에 주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IB업계의 일본기업 및 대체투자 자산 비중이 낮을 뿐더러 기관들의 펀드조성이 기본적으로 장기투자를 전제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한일관계 경색이 장기화되지 않는 이상 일본 악재가 주는 영향은 단기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공제회 관계자는 “영국의 브렉시트 당시에도 LP들이 GP들에 투자자산 위험여부 등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며 “공적 성격을 지닌 공제회의 보수적 특성상 자산의 위험도를 확인하고 이를 임원 및 관련 기관에 보고하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장기·분산 투자를 기본으로 투자 전략을 짜기 때문에 (일본 영향이)LP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