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금리·위안화 환율에 등락…다우 0.09%↓

S&P·나스닥은 상승

금값은 1,500달러 돌파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국채 금리와 중국 위안화 환율 움직임에 따라 등락을 거듭했다.

시장정보업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2.45포인트(0.09%) 하락한 26,007.0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날보다 2.21포인트(0.08%) 상승한 2,883.98, 나스닥 지수는 29.56포인트(0.38%) 오른 7,862.83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에 대한 공포가 한층 커진 가운데 미 국채 금리와 중국 위안화 환율 동향을 특히 주시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2016년 이후 처음으로 1.6%를 하회했고, 30년물 국채금리도 사상 최저치에 근접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마이너스(-) 0.6% 이하로 내려가기도 했다. 무역전쟁이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큰 가운데, 뉴질랜드와 인도, 태국 등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예상보다 적극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한 점이 국채금리 급락을 촉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뉴질랜드는 금리를 0.5%포인트 깜짝 인하했고 인도는 통상적인 수준보다 큰 35bp 인하를 단행했다.

관련기사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 세 나라의 금리 인하를 언급하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반드시 금리를 더 많이, 더 빨리 내려야 한다”고 압박한 점도 금리 급락을 자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보다 연준이 더 문제라는 격한 표현도 동원하며 연준을 거듭 공격했다. 금리 급락은 경제 둔화 우려로 이어지는 만큼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하며 다우지수는 장 초반에 600포인트 가까이 추락했다.

반면 금값은 약 6년 만에 처음으로 온스당 1,500달러 선을 넘어서는 등 안전자산으로의 피신 분위기도 뚜렷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안전자산으로의 피신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스파르탄 캐피탈의 피터 카르딜로 수석 시장 경제학자는 “금리가 급락하고 있으며 금값은 급등 중”이라면서 “이는 무역전쟁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미중 무역갈등 격화에 대한 우려 속에 급락세를 지속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4.7%(2.54달러) 미끄러진 51.0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약 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10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기준 배럴당 4.04%(2.38달러) 하락한 56.5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