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최기영 과기정통부 후보자 "소재-기술 자립 근본 방안 마련할 것"

12일 인사청문회준비 위해 출근중 기자단에 발혀

반도체, 디스플레이 국산화 방안 등 보고 받아

최기영 과기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2일 오전 경기도 과천과학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출근하던 도중 현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준비한 소감문을 발표하고 있다. /과천=연합뉴스최기영 과기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2일 오전 경기도 과천과학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출근하던 도중 현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준비한 소감문을 발표하고 있다. /과천=연합뉴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 장관 후보자는 12일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와 관련해 “우선 소재 및 관련 기술의 자립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특히 연구개발(R&D) 프로세스를 점검해 혁신을 이루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과정에서 많은 예산이 투입되겠지만 발등의 불을 끄겠다고 국민의 소중한 세금을 헛된 곳에 낭비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최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립과천과학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소로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탄탄하게 기초를 다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해야 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온 국민이 체감하고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국가의 중장기 과학기술 분야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로서 관련하여 기초를 철저히 다진다는 마음가짐으로 해당 분야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관련 부처와 협력하면서 이 문제에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 후보자는 “과학기술정책은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면도 소홀히 해선 안된다”는 발언도 곁들였다. 그러면서 “혁신적인 기술은 기초과학의 토대 위에서 발전한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기초과학은 인류의 지식을 확장한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 분야”라며 “한국이 기초과학으로도 자랑스러운 국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날 발언에선 협업을 강조한 내용들도 있었다. 그는 “저는 경력의 대부분을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분야의 연구자로서 보냈다”며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과 협업을 해 성과를 이루어온 저의 연구자로서의 경험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분야의 R&D, 이에 기반한 산업의 활성화, 나아가 우리나라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 동안 유영민 장관의 지휘로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빅데이터, 네트워크, AI 등과 관련한 산업 육성의 기초가 마련되어왔다”며 “이제 그것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유 장관이 임기중 세계최초로 상용화 시킨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와 관련해 최 후보자는 “이를 토대로 앱이나 콘텐츠 개발이 이뤄지면 완성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성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최 후보자는 청문회에 대비해 개인 신상에 관한 서류와 소명 자료를 준비하는 한편 전성배 기획조정실장, 유국희 대변인, 손승현 감사관 등 주요 간부들에게 보고를 받았다. 이날 보고에는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 중에서도 한국의 주력분야인 반도체·디스플레이에 대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R&D 강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