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립운동하면 3대가 가난' 옛말되도록...서울시 '후손 지원' 확 늘린다

내년부터 월 20만원 생활수당

대학생엔 年 300만원 장학금

국민임대주택 특별공급도 확대

서울시가 내년 1월부터 서울에 사는 저소득 독립유공자 후손 3,300여가구에 월 20만원의 생활지원수당을 지급한다. 서울시 내 대학에 다니는 독립유공자 후손에게는 연 300만원의 장학금도 준다.

서울시는 광복절을 앞둔 12일 이 같은 내용의 ‘독립유공자 후손 예우 및 지원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지원 계획은 지난 2012년과 2018년에 이미 발표했던 보훈종합계획을 확대·강화한 것이다.


생활지원수당 지급 대상자는 독립유공자 후손(자녀·손자녀) 중 기초생활수급자 및 중위소득 70% 이하인 가정이다. 대학생 장학금은 독립유공자의 후손으로 서울 소재 대학을 다니는 학생들이다. 내년 3월부터 총 100명에게 지급된다. 독립유공자와 유족 단체인 광복회 서울시지부는 취업 특강·멘토링 등도 함께 제공하기로 했다. 유공자 후손에 대한 국민임대주택 특별공급도 확대한다. 내년부터 입주예정인 고덕강일·마곡지구 등 국민임대주택 사업지구 중 총 15%(544호)를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특별공급한다.

관련기사



1315A24 독립유공자후손경제현황



월 10㎥의 상하수도 요금과 서울 시내 공영주차장 요금 80% 감면도 새롭게 추진한다. 독립유공자 본인과 선순위 유족 1인이 대상이며 약 1,900명이 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집중된 이번 지원책은 기존 독립유공자 본인에게 집중했던 보훈 정책보다 나아간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후손의 74.2%가 월 소득 200만원에 못 미칠 정도로 생활고를 겪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는 3·1운동 100주년과 임시정부 100주년 등 뜻깊은 해인데다 한일관계 경색으로 그 어느 때보다 의미 있는 시기”라며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책을 내놓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애국지사 본인에게만 월 20만원의 수당을 지원해왔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생존 독립유공자는 10명에 불과하지만 독립유공자 후손은 3대손까지 1만7,000여명으로 추산된다. 독립유공자 장준하 선생의 아들인 장호건 광복회 서울시 지부장은 “독립유공자 후손의 대부분이 쪽방에서 생활하는 등 생활고가 심각하다”며 “물질적 지원을 넘어 독립운동한 분들을 조상으로 모신 우리의 자부심과 명예를 예우해주는 것이 고맙다”고 전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