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화학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마의 효율 25% 돌파

NREL 발표, 화학연·MIT 25.2% 세계 1위… 실리콘 태양전지와 격차 1%대로 좁혀

한국화학연구원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 효율 부문에서 마의 25% 벽을 넘었다. 그 결과 중국과학원과의 격차를 1.5%이상 벌렸다.

화학연은 NREL(미국재생에너지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가 지난 2일 발표한 ‘태양전지 최고효율 차트’에서 한국화학연구원 서장원 박사팀과 MIT 모운지 바웬디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기록한 25.2%가 페로브스카이트 부문 세계 최고 광전변환효율(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효율)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화학연은 2019년 4월 중국과학원의 23.7%를 제치고 세계 최고 효율 24.2%를 기록한 이후 4개월 만에 또다시 1%이상을 경신했다. NREL은 해마다 분기별로 태양전지 최고 효율을 기록한 연구기관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이번 기록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진 25%의 효율을 뛰어넘는 결과이며 1세대 태양전지인 실리콘 태양전지 최고 효율과의 격차도 1%대로 좁혔다.

관련기사



화학연 서장원 박사는 “이번에 기록한 25.2% 효율은 저렴한 용액기술 공정을 도입해 달성한 것으로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가 상대적 고가의 공정으로 달성한 26.7%의 최고효율을 1%대로 줄인 것”이라며 “현재 이 기술을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모듈을 제작하는데 적용해 고효율 모듈 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MIT와의 공동연구 핵심연구자인 화학연 신성식 박사는 “이번 기록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조성 제어을 통해 보다 많은 빛을 흡수해 전류를 증대시켜 얻은 결과”라며 “앞으로 태양전지의 전류를 더 상승시키면 충분히 실리콘 태양전지의 26%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화학연은 중국과학원, 스위스로잔연방공대 등과 함께 전 세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를 이끌고 있다. 지금까지 이번 기록을 포함해 총 7번 NREL 태양전지 최고효율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에는 2017년 10월 22.7%, 2019년 4월 24.2%, 2019년 8월 25.2%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효율을 기록한 바 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