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걸음걸이로 무릎관절염 진단·치료 길 열린다

울산과기원 강상훈 교수팀 등 국내외 공동연구진 개발

"관절에 가해지는 힘 실시간 분석…치료·재활 적용 기대"

걸음걸이로 무릎관절염 진단, 재활 훈련 로봇 시스템. /사진=울산과학기술원걸음걸이로 무릎관절염 진단, 재활 훈련 로봇 시스템. /사진=울산과학기술원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걸음걸이를 분석해 무릎관절염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강상훈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미국 메릴랜드주립대, 코넬대의대 연구진과 함께 걸음걸이로 무릎관절염을 진단, 치료와 재활을 실시간 보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무릎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오래 쓰거나 과도하게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골이 닳아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나 다양한 증상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관련기사



공동 연구진은 로봇 시스템과 신경 생체역학을 결합, 운동기구 설치가 가능한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환자가 걷는 동안 발판에 가해지는 힘과 발목 움직임을 측정,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실시간으로 계산해 관절염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강상훈 울산과기원 교수.강상훈 울산과기원 교수.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환자에게 효율적인 걸음걸이를 안내해 줄 수 있고 비 수술 치료와 재활 방법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 동작분석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분석이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점이 특징이다.

강 교수는 “객관적 데이터 제공을 통한 진단 보조와 첨단 바이오피드백 재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산재병원이나 재활병원에서 환자 치료나 맞춤형 정밀 로봇 재활의 새 장을 여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6월호에 게재됐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