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對)일 메시지 수위 조절 文 대통령에 민경욱 “국민 소모품 취급 대가 치를 것”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이 지난 7월 24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옆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발언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이 지난 7월 24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옆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발언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경욱 자유한국당 대변인이 일본 무역 보복에 대해 ‘감정적 대응’ 자제를 주문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국민을 소모품으로 취급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반(反)일을 강조했던 문 대통령이 메시지 수위 조절을 하면서 이렇다 할 설명조차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민 대변인은 13일 본인 페이스북 글에서 “국민들 뺑뺑이 돌리다가 결국 제자리에 세워놓으셨다”며 “우리 국민이 X개들도 아니고 분기탱천해서 국민들 혈압을 올려놓으셨다가 ‘이산이 아닌가벼’하고 하산시켰으면 최소한 ‘처음부터 내 생각이 짧았다’든지 아니면 ‘해보니 옳은 방법이 아니었다’는 한마디 말씀이라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특히 “국민들 필요할 때 쓰고 버리는 소모품이나 X개로 취급한 대가는 반드시 치르게 될 것”이라며 “신뢰의 상실이 첫 번째 결과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는 12일 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일본의 경제보복 대응과 관련해 “우리의 대응은 감정적이어선 안 된다”며 “결기를 가지되 냉정하면서 또 근본적인 대책까지 생각하는 긴 호흡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 데 따른 반발로 풀이된다. 앞서 항일 운동, 불매운동, 죽창가 등으로 국민 감정을 자극하다가 자제를 당부하는 모습으로 바꾸면서도 흔한 배경 설명 등이 없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