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정부 "日 지도자, 야스쿠니 신사 봉납·참배 깊은 우려"

외교부 대변인 명의 논평 통해 반성 촉구

아베 총리, 7년 연속 공물 '다마구시' 보내

일본 국회의원 일부 직접 찾아 단체 참배

나루히토 일왕 "과거에 대한 깊은 반성"

일본 패전(종전)일인 15일 일본 국회의원들이 단체로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러 이동하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일본 패전(종전)일인 15일 일본 국회의원들이 단체로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러 이동하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



정부는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종전)기념일인 15일 “일본 정부와 의회의 책임있는 지도자들이 일본의 과거 식민침탈과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전쟁범죄자를 합사한 야스쿠니 신사에 또다시 공물료를 봉납하고 참배한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일본 지도자들의 야스쿠니 신사 공물료 봉납 및 참배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논평에서 “우리 정부는 일본의 정치지도자들이 과거사에 대한 겸허한 성찰과 반성을 실제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며 “이러한 자세가 바탕이 될 때 한일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고 나아가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 바다”라고 강조했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일제 침략전쟁의 상징인 야스쿠니신사에 7년 연속으로 공물을 보냈다. 고이즈미 신지로 중의원 의원 등 일부 국회의원들은 단체로 참배에 나섰다. 아베 총리는 이나다 도모미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을 통해 야스쿠니신사에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라는 공물을 보냈다. 아베 총리가 패전일에 이 공물을 보낸 것은 지난 2012년 12월 2차 집권 후 7년 연속이다.

다만 아베 총리는 이번 패전일에도 직접 참배는 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지난 2013년 12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해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거센 비판을 받은 뒤에는 직접 이 신사를 참배하지 않고 종전일과 봄과 가을의 춘·추계 예대제에 공물을 보내고 있다.

나루히토 일왕 내외가 15일 도쿄의 닛폰부도칸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패전) 74주년 ‘전국전몰자추도식’에 참석, 아베 신조 총리의 추모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교도연합뉴스나루히토 일왕 내외가 15일 도쿄의 닛폰부도칸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패전) 74주년 ‘전국전몰자추도식’에 참석, 아베 신조 총리의 추모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교도연합뉴스


하지만 초당파 일본 국회의원 모임인 ‘다 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들은 이날 단체로 야스쿠니신사를 찾았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아베 내각 각료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2017년부터 중단됐으나, 이 국회의원 모임은 꾸준히 참배를 이어가고 있다.


이 모임뿐만 아니라 아베 총리의 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간사장 대행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아들인 고이즈미 신지로 중의원 의원도 이날 야스쿠니신사를 찾아 참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야스쿠니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다.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한 246만6,000여명이 합사돼 있다. 실제로 위패와 유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합사자 명부가 있다. 이곳에는 일제의 군인이나 군속으로 징용됐다가 목숨을 잃은 조선인 2만1,181명도 합사돼 있다.

한편 나루히토 일왕은 즉위 후 처음 열린 일본 정부 주최의 종전 기념행사에서 “과거에 대해 깊은 반성을 한다”고 말했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태평양전쟁 종전 74주년 기념행사인 ‘전몰자추도행사’에 참석해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을 맞았다”며 “소중한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들과 유족을 생각하며 깊은 슬픔을 새롭게 느낀다”고 밝혔다.

나루히토 일왕이 ‘깊은 반성’이란 표현을 사용한 것은 지난 4월 퇴위한 부친인 아키히토(明仁) 전 일왕의 견해를 계승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아키히토 전 일왕은 2015년 추도식 때부터 ‘깊은 반성’이란 표현을 사용해 왔다./정영현·박민주기자 yhchung@sedaily.com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