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가스안전공사, 검사장비 일본 의존도 절반 축소

한국가스안전공사가 가스안전 검사·점검 장비의 일본 의존도를 3년 안에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가스안전공사는 16일 ‘가스안전 기술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공사는 대일 의존도를 낮추고자 보유 장비 중 일본산 장비 비중이 가장 높은 검사·점검 장비의 일본산 비중을 3년 내 50% 이상 감축하기로 했다. 김형근 가스안전공사 사장은 “가스안전 분야는 외형적 성장에 비해 핵심 장비나 기술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수소용기용 탄소섬유, 고순도 불화수소, 검지기 등 일부 품목의 경우 기술 적용과 사업화는 답보 상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선 글로벌 기업과 기술 수준이 비슷한 품목부터 국산품으로 대체하고 일본산이 국내시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휴대용 레이저 메탄 검지기는 국내 기술력이 확보되는 즉시 국산품으로 바꾼다. 가스안전 장비의 국산화율을 높이고자 업계에서 개발한 장비의 상용화와 장비 국산화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한국형 원거리 휴대용 레이저 메탄 검지기를 개발한 기업이 본질안전방폭(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전기불꽃이나 열이 폭발성 가스에 점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 구조)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원거리 레이저 메탄 검지기의 성능 향상과 소형·경량화를 위한 연구개발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아울러 반도체용 특수가스 밸브 업체 자립화를 위해 전담지원반을 구성·운영하고, 일본산을 대체할 외국산 제품 제조사의 공장심사와 국산품 검사를 최우선 처리한다. 국산 탄소섬유 적용 용기에 대한 실증시험을 지원해 업계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시험 비용을 한시적으로 50% 할인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불화수소 제조기업에는 인허가 관련 기술 컨설팅과 고순도 불화수소 잔가스 처리를 지원한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