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치매 입원환자 1인당 진료비 1,014만원…5년간 48% 늘어

2017년 기준 1만2,111명 입원…외래 환자는 6만6,036명

요양시설 부족하고 치매안심센터 접근성도 낮아

연구진, 기초생활 수급권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관리 필요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서울에서 치매로 입원한 환자의 한 해 진료비가 2013년부터 5년간 48% 늘어 2017년엔 1,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서울 지역의 치매 입원 환자는 1만2,111명에 달했다. 이들의 총진료비는 1,228억원, 1인당 평균 1,014만원이었다.

치매 입원 환자는 2013년 이후 5년간 크게 늘지 않았다. 그러나 1인당 진료비는 2013년 687만원에서 꾸준히 늘어 2017년 1,014만원으로 48% 증가했다. 연구진은 그나마 지난해에는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입원 환자 수는 자치구별로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2017년 기준 입원 환자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송파구(754명)였고, 가장 적은 자치구는 중구(204명)였다. 대체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많은 자치구가 치매 환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입원비는 용산구(1,094만원), 서초구(1,079만원), 동작구(1,078만원) 순이었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입원 일수는 133일이었다.


입원하지 않고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실수진자)는 2017년 기준 총 6만6,036명이었다. 이는 서울 지역 65세 이상 노인 인구(136만5,000명)의 5%에 해당한다. 1인당 외래 진료비는 평균 22만원, 총 진료비는 142억원이었다. 외래 환자 수는 노원구가 3,958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구가 1,112명으로 가장 적었다. 1인당 외래 진료비는 서초구가 2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외래환자 1인당 평균 방문일수는 4일이었다.

관련기사



치매로 인한 의료비 부담이 늘고 있는데도 치매 노인 돌봄 시설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서울시 노인요양시설은 총 208개, 정원은 1만2,671명이었다. 이 중 서울시 인증을 받은 시설은 52개(정원 4,545명)뿐이었다. 특히 종로구, 중구, 서초구, 강남구 등 도심 지역의 요양 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치매안심센터의 낮은 접근성도 문제다. 25개 자치구 치매안심센터에서 인근 지하철역까지 거리는 평균 880m로 노인이 걸어가기에는 다소 먼 거리다.

연구진은 치매안심센터와 데이케어센터 이용자 중 기초생활 수급권자는 5∼6%, 독거·손자녀 가구를 포함한 취약가구 비율은 10∼16%로 낮아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치매 노인을 발굴·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