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제조업 경기 10년만에 최악…' R'의 공포 확산

PMI 50 미만 ‘수축’…“기업 글로벌 경기비관론 확산”

‘나홀로 성장’세를 구가하던 미국이 10년 만에 제조업 경기가 위축된 것으로 나타나 경기 침체(recession)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이 22일(현지시간) 발표한 미국의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예비치)는 49.9를 기록해 지난달 50.4보다 떨어졌다.


PMI는 기업의 구매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경기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지표로, 50보다 크면 경기 확장을 의미하고 50보다 작으면 경기 수축을 의미한다.

미국 제조업 PMI가 50 아래로 떨어져 수축을 나타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이 지속되던 2009년 9월 이후 처음이다.

IHS 마킷의 이코노미스트 팀 모어는 “미국의 경제 성장세가 3·4분기에도 계속 약화하고 있다는 뚜렷한 신호”라고 밝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PMI가 매출, 재고 수위, 원자재 가격 등을 조합해 일반적인 건전성을 점치는 지수인 까닭에 부정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번 결과는 미국을 비롯한 다른 주요 경제권에서 나오는 경고음과 맥락을 함께하기 때문에 우려스러운 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컨설팅업체인 RSM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 브러쉘러스는 “구매 관리자들 사이에서 글로벌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한다는 점이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브러쉘러스는 “비관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과 명백히 관련된다”며 “상황이 더 악화하면 무역전쟁 리스크가 서비스업과 가계 부문으로까지 번져 내년 경기침체 위험이 더 커진다는 신호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IHS 마킷이 서비스업까지 포함해 발표한 8월 종합산출지수(composite output index)는 50.9로 경기 확장을 나타냈으나 동력을 급격히 잃으면서 2016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가계의 소비는 무역전쟁 관세의 비용이 소비자들에 전가되면서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신용평가회사 무디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잰디는 미국 CNN방송 인터뷰에서 “미국 가계가 소비를 망설이는 순간 게임 끝이자 그대로 경기침체”라고 말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