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로터리]식탁 변화로 온실가스 줄이자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올여름 유럽은 이상기후로 45도가 넘는 극심한 폭염에 시달렸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문제에 대해 위기의식이 높아지면서, 지난 5월 유럽의회 선거에서 녹색당이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아 크게 선전했다. 기후변화는 유럽에서 정치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2015년 우리나라를 포함한 195개국은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파리 기후협정에 합의했다. 각국은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을 목표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후변화에 특히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분야가 바로 농업이다. 농작물의 재배시기·재배지·작부체계 등의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식량안보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농업계도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또 농업 분야는 다른 산업과 달리 불특정 다수의 농업 경영체가 온실가스의 배출원이다. 이 때문에 규제를 통한 감축보다는 농업인의 자발적 참여가 절실하다.


정부는 농가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2012년에 도입된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다. 에너지·농자재 등을 절감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농산물을 정부에서 인증해준다. 농가는 생산비를 절감하고 환경도 보전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최근에는 환경보호 등 윤리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져 저탄소 농산물에 대한 소비도 늘었다. 2013년 약 80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이 지난해 약 470억원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또한 농가와 기업 간 상생협력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도 지원한다. 2015년 농식품부-서부발전-충청남도 간 업무협약을 체결해 기업은 농가에 온실가스 감축비용을 지원하고, 농가는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기업에 제공하는 상생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지난해 충남의 토마토 농가는 지열을 이용해 연간 약 400톤의 온실가스를 줄였으며 이를 서부발전에 판매해 약 700만원의 추가 수익을 올렸다.

농업인뿐 아니라 소비자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에 동참할 수 있다. 지역 농산물과 친환경 농산물로 식탁을 채우는 것이다. 로컬푸드는 유통거리가 짧고 친환경 농산물은 농약·비료 사용이 적어 에너지 절약과 탄소배출 감축에 기여한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은 정부와 기업만의 몫이 아니다.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농업 분야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소비자의 참여도 필요하다. 환경친화적인 먹거리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식탁 위의 작은 변화로도 기후변화는 늦출 수 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