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수 채용도 강사법 유탄...올 600명 줄어

4년제 3,810명...작년比 14%↓

지방대 중심 전임교수 안뽑고

비정규직 겸임·초빙교원 늘려

"대학간 격차 더 커지나" 우려도




지난달부터 시행된 강사법 유탄에 대학들이 강사는 물론 교수 채용도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들 입장에서는 대학에서 시간제로 일하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전임교원이 되는 길도 한층 좁아졌다. 특히 4년제 대학의 경우 주로 지방대를 중심으로 교수 숫자를 줄이고 있어 서울 및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학은 전임교원(교수) 3,810명을 신규 채용했다. 이는 작년 같은 대학들의 신규 전임교원 채용 규모 4,419명과 비교했을 때 1년 만에 609명(13.7%) 급감한 것이다. 전문대학들의 신규 교수 채용도 올해 800명으로 작년(810명) 대비 감소했다.


대학들이 올해 교수 채용을 줄인 것은 강사법 시행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학들은 지난달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1학기에 강사를 줄이는 대신 교수는 아니지만 강사보다 직위 안정성이나 급여가 높은 겸임교원·초빙교원을 대폭 늘렸다. 교육부에 따르면 1학기 대학에 고용된 겸임교원·초빙교원 수는 3만 768명으로 전년(2만 5,833명) 대비 4,935명 늘어났다. 같은 기간 줄어든 강사 규모(1만 1,621명) 만큼은 아니지만 대학들이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 다른 방식의 채용을 늘린 것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채용이 비정규직 교수 양산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대학 교원은 전임교원(정교수·부교수·조교수)과 비전임교원(겸임교원·초빙교원·시간강사·기타교원)으로 나뉜다. 전자가 정규직이라면 후자는 비정규직으로 분류된다. 강사들의 직업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강사법이 강사 대량해고에 이어 대학 교원 전반의 비정규직 확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제 갓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 강단에 서는 강사 등 학문 후속세대 입장에서는 상황이 더 암울해졌다. 당장 대학에서 자리를 잡기 위한 시간제 강사 자리가 줄어든 것은 물론 장기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는 교수가 되는 문도 더욱 좁아져 버렸기 때문이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정부 지원 등 사회적 역량이 집중되는 서울 시내 대학들은 교수 채용 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방 대학들은 학생들의 미래를 담보로 비정규직 교원 양상에 집중하고 있다. 대교협에 따르면 국내 대표 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대는 올해 132명의 전임교원을 신규 채용했다. 이는 전년(93명) 대비 39명 늘어난 것이다. 이외에 고려대와 연세대도 올해 각각 62명과 115명의 교수를 신규 채용하면서 작년보다 많은 수의 교수를 뽑았다. 전체 4년제 대학이 전임교원 숫자를 대폭 줄인 것과 정반대인 것이다. 결국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여건이 열악한 지방대학의 교육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에 제기됐는데 비정규직 교수 양산으로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김용섭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위원장은 “강사법 여파는 재정상황이 건전하고 정부 지원이 많은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의 격차를 더 키울 수 있다”며 “강사들만의 문제가 아닌 고등 교육 생태계를 살리는 차원에서 강사법 이후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