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거대 양당 '청문회 패싱' 부담에 합의…청문 일정 결정은 5일에

■여야 '6일 조국청문회' 합의

가족증인 채택 없이 하루만 개최

나경원 "국회책무 이행 위해 합의

조국 부적격 후보 실체 밝힐 것"

野, 부인 '동양대 총장상' 의혹

딸특혜·가족펀드 공세 주력할듯

이인영(오른쪽)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ㆍ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4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인영(오른쪽)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ㆍ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4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불참, 증인 출석 불투명 등 ‘반쪽 청문회’ 우려에도 불구하고 자유한국당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개최에 합의한 데는 ‘무(無) 청문회’에 대한 부담감이 자리하고 있다. 아울러 청문회를 통해 조국 후보자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 수사를 염두에 두고 사전 진술 확보 차원에서 청문회를 수용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4일 국회 운영회의장에서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회동하고 가족 증인 없이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6일 여는 데 합의한 뒤 “조 후보자만 대상으로 청문회를 진행하더라도 부적격 후보라는 실체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보고 더는 증인을 고집하지 않기로 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드러나고 있는 만큼 가족 등을 비롯한 증인의 출석이 없어도 조 후보자가 법무부 장관 자격이 없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더 나아가 나 원내대표가 “동양대 건은 저희 당에서도 의혹을 조사한 부분이 있다”며 “동양대 건이 전부라고는 말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당이 청문회를 겨냥해 공격 포인트로 잡고 있는 부분은 △딸 특혜 △가족 펀드 △웅동학원 등 조 후보자를 둘러싼 핵심 의혹이다. 특히 이날 주광덕 한국당 의원이 조 후보자 아내 정경심씨가 동양대 어학교육원장으로 재직할 당시 총장 승인을 받지 않고 문서를 위조해 딸에게 ‘셀프 총장상’을 수여한 게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면서 일각에서는 한국당이 청문회 당일 새 의혹으로 공세에 나서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여상규(가운데) 위원장과 송기헌(왼쪽)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도읍 자유한국당 간사가 4일 국회 법사위원장실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협의를 위해 회동한 가운데 송 간사와 김 간사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여상규(가운데) 위원장과 송기헌(왼쪽)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도읍 자유한국당 간사가 4일 국회 법사위원장실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협의를 위해 회동한 가운데 송 간사와 김 간사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조 후보자에 대한 하루짜리 인사청문회를 열기로 합의한 데 대해 이날 일부 한국당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김태흠 의원은 기자들을 만나 “원내대표란 사람이 하루짜리 청문회를 받아왔다”며 “오락가락하고 원내전략도 원칙도 없다”고 했다. 법사위원인 장제원 의원은 페이스북에 “물 건너간 청문회를 해서 그들의 ‘쇼’에 왜 판을 깔아주려고 하는지 도대체 모르겠다”며 “이틀이 보장된 청문회를 하루로, 단 한 명의 증인도 없는 청문회에 어떻게 합의를 할 수 있는지 도대체 원내지도부의 전략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뿐 아니라 법사위 한국당 간사인 김도읍 의원까지 나서 청문회 일정에 합의한 직후 한국당 원내 지도부와 법사위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나 원내대표를 향해 “왜 이런 청문회에 합의했느냐”고 강하게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한국당 내 반발 기류의 여파로 양측의 극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인사청문회를 열어 누구를 증인으로 부를지 등에 대해서는 결론을 짓지 못했다. 이날 여야 간 합의 직후 법사위는 전체회의를 열고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 실시 안건을 채택하려 했으나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하며 의결이 무산됐다. 양측은 5일 다시 만나 청문회 실시계획서 의결을 시도할 계획이다.
/안현덕·구경우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