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인공지능 기법으로 범죄 예측한다

‘스마트 치안 구현단’ 발족…AI·빅데이터 활용

5년간 160억 투입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피의자 도주경로·가정폭력 재발징후 분석 가능

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사에서 열린 ‘스마트 치안 구현단’ 발족식에서 민갑룡(오른쪽) 청장이 구현단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제공=경찰청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사에서 열린 ‘스마트 치안 구현단’ 발족식에서 민갑룡(오른쪽) 청장이 구현단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제공=경찰청



경찰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전에 범죄 가능성을 예측하는 ‘한국형 범죄예측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경찰청은 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사에서 ‘스마트 치안 구현단’ 발족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경찰청 차장이 단장을 맡은 구현단은 기획조정관, 정보화장비정책관 등 관련 부서와 외부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구현단은 각종 치안 관련 데이터와 첨단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관리하며 스마트 치안 전략을 총괄하는 관제탑 역할을 하게 된다. 실무전담 조직으로는 치안빅데이터정책담당관이 신설됐다.


구현단은 스마트 치안을 위한 우선 과제로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경찰의 빅데이터 관련 정보시스템은 112시스템과 교통전산시스템, 과학수사포털시스템 등 31개다. 이들 정보시스템의 정형 데이터 용량만도 145억건에 달하지만, 통합 플랫폼이 갖춰져 있지 않아 경찰은 기능별로 제한된 범위에서만 이를 활용해온 한계가 있었다. 통합 플랫폼이 구축되면 여러 데이터를 융합해 분석한 결과를 치안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통합 플랫폼 구축에는 향후 5년간 사업비 16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일단 내년도 예산 57억원이 정부안에 반영됐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아울러 경찰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경찰이 운영하는 범죄예측 프로그램인 ‘프레드폴’(PredPol) 시스템을 모델로 삼아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범죄예측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후 ▲ 체포영장이 발부된 피의자의 이동 경로 패턴 분석 ▲ 가정폭력 재발 징후 분석 ▲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시설물 최적 설치 등의 분석과제를 발굴, 확대하기로 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앞으로 경찰은 첨단기술과 빅데이터를 결합한 스마트 치안 서비스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