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법 “서울광장 무단 점유한 1인 시위에 변상금 부과는 적법”




서울광장에서 1인 시위를 하면서 무단으로 텐트를 설치하고 대형 천막이 설치된 자전거를 세워놓으면 서울시가 변상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박상옥 대법관)는 서울광장에서 1인 시위를 하다 변상금을 부과받은 주 모씨가 변상금 부과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서울시장을 상대로 낸 시유재산변상금 부과처분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공유재산 무단 점유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파기 환송을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주씨는 지난 2015년 7월부터 1인 시위를 하면서 낮에는 서울광장에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 박주신 씨를 국내로 소환하라’는 내용이 적힌 대형 천막이 설치된 자전거를 세워뒀다. 이어 밤에는 서울시청 청사 부지에 텐트를 설치해 취침하는 방식으로 1인 시위를 이어왔다. 이에 서울시가 공유재산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67만원과 225만원을 부과하자 소송을 제기했다.

관련기사



1심은 “주씨의 시위로 서울광장을 이용하는 시민의 자유로운 광장 이용이 제한됐다고 보기 어렵고 주씨가 텐트를 설치한 서울시청 청사 부지는 공유재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변상금 부과처분을 모두 취소하라고 판단했다.

반면 2심은 “주씨의 시위는 특정한 장소를 유형적·고정적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변상금 부과대상으로서의 점유에 해당한다”며 서울시의 변상금 부과가 적법하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공유재산의 무단 점유에 해당한다”는 원심 판단에 동의하면서 “무단점유 면적은 서울광장 조례에 따른 서울광장 최소 사용면적인 500㎡가 아니라 원고가 실제 무단으로 점유한 면적이어야 한다”며 2심 재판을 다시 하라고 결정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