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만 서울’은 옛말?…고령사회·인구감소 직면한 서울

지난해 말 1,004만명→올 연말께 1,000만 이하 예상…65세 이상 14% 넘어

서울시 부양비도 5년 새 3%↑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시간을 보내고 있다./연합뉴스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시간을 보내고 있다./연합뉴스



이르면 올해 말부터 ‘천만 서울’이라는 표현이 옛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018년 말 서울시 전체 인구가 1,004만 9,607명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에 등록된 내국인 976만 5,623명과 외국인 28만 3,984명을 합한 것으로 서울시 인구 중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1995년 4만 5,000명에서 지난해 28만 4,000명 선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시는 “최근 3년간 전출자 수에서 전입자 수를 뺀 ‘순전출’ 인구가 평균 8만 명 이상”이라며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 시 등록인구가 1,000만 명 이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구 감소의 최대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간 인구는 36만 8,536명, 경기도에서 서울로 온 인구는 23만 3,320명으로 서울 입장에서 순전출은 13만 5,216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로 2만 5,321명으로 집계됐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의 자연증가는 1992년 14만 5,000여 명에서 지난해 1만 3,000여 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시민 1,000명을 상대로 한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꾸준한 인구 감소에 대해 서울시민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37.9%는 ‘부정적’, 22.5%는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과 주거(43.1%),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60.9%)와 복지(59.4%) 등 순이었다.

관련기사



/자료=서울시/자료=서울시


한편 지난해 서울시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은 141만 297명으로 14.4%를 차지해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은 2005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바 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2017년 65세 이상 서울 인구는 135만 9,901명으로 전체의 13.8%였다. 시는 “현재 추세라면 2026년께 초고령 사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늘고 14세 이하 인구는 감소함에 따라 생산 가능 연령층인 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 부양비는 1998∼2013년 31%대를 유지하다가 점차 오르기 시작해 2018년 34.1%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인구의 부양비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인 만큼 면밀하게 분석해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서울시/자료=서울시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