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CJ ENM·JTBC도 통합서비스...막 오른 'OTT 大戰'

내년초까지 합작법인 설립 추진

'웨이브' 이어 콘텐츠 연합군 탄생

디즈니·애플 등 글로벌社도 가세




CJ ENM과 JTBC가 통합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추진한다.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이 뭉친 ‘웨이브’에 이어 유료방송을 기반으로 고속 성장한 신흥 콘텐츠 강자 연합군이 탄생하며 국내외 OTT간 합종연횡과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춘추전국시대’ 개막을 예고했다.

CJ ENM과 JTBC는 OTT 합작법인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내년 초까지 각자 지적재산권(IP)를 보유한 콘텐츠를 통합해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CJ ENM의 OTT인 ‘티빙’을 기반으로 한 통합 OTT 플랫폼을 서비스하기로 합의했다.


합작법인은 CJ ENM이 1대 주주, JTBC가 2대 주주로 참여한다. 양사가 만드는 합작법인은 KT 등 다른 사업자들이 참여 의사를 밝힐 경우 검토한다는 방침이어서 KT의 참여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양사는 이 법인을 통해 국내 OTT 플랫폼에 콘텐츠를 유통한다. 양사는 또 이 법인을 통해 콘텐츠 결합상품 등을 선보이고, 추가 제휴에 나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다. CJ ENM과 JTBC는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CJ ENM과 JTBC는 드라마와 예능 부문에서 인기작을 다수 확보한 신흥 콘텐츠 강자로 꼽힌다. 특히 CJ ENM은 방송은 물론 영화와 음악, 공연, 애니메이션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 유통하고 있다. 또 방송은 tvN, 엠넷, 올리브 등 시청률 높은 다수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JTBC 역시 드라마와 예능 분야에서 경쟁력 높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관련기사



앞으로 합작법인을 토대로 콘텐츠 기획과 제작 역량을 키워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CJ ENM의 한 관계자는 “국내 인터넷TV에 양사 콘텐츠를 패키지로 묶어 판매할 수 있고, 새로운 콘텐츠 업체들이 합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18일부터 지상파 3사의 OTT ‘푹’과 SK텔레콤의 OTT ‘옥수수’를 통합한 한국형 OTT ‘웨이브’가 출범하는데 이어 티빙이 JTBC를 등에 업고 몸집을 키우면서 국내 다른 OTT와 콘텐츠 공급사 간 짝짓기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넷플릭스가 국내 시장에서 고속성장세를 보이고 디즈니와 애플이 잇따라 서비스 개시를 앞둔 가운데 OTT간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콘텐츠 차별화와 자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단 국내시장에서는 웨이브나 티빙+JTBC가 글로벌 OTT와 견줘 대등한 경쟁을 펼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이용자들이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제작된 드라마나 예능 같은 콘텐츠를 선호하는데다 ‘웨이브’와 ‘티빙’ 모두 매일 새로운 작품이 올라온다는 점에서 글로벌 OTT 대비 차별점을 내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취향에 따라 여러 OTT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는 만큼 제로섬 게임보다는 OTT 업계 전반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류의 영향력이 미치는 아시아시장에서도 한국형 OTT들이 글로벌 기업과 맞서 볼 만하다는 평가가 많은 가운데 구매력이 높은 미국 등 선진시장에서까지 겨루기에는 제작비 규모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