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전 대통령 오른쪽 어깨도 문제 있어"…병원 측 밝힌 지금 상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16일 어깨 부위 수술을 받기 위해 서울성모병원으로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박근혜 전 대통령이 16일 어깨 부위 수술을 받기 위해 서울성모병원으로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



어깨 관절 부위를 덮고 있는 근육인 회전근개 파열로 16일 서울성모병원 21층 VIP 병동에 입원한 박근혜 대통령의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병원 측은 박 전 대통령이 수술 후 회복까지 3개월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17일 병원 측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의 수술은 주치의인 김양수 정형외과 교수의 집도로 오전 9시17분쯤 시작돼 약 1시간 동안 진행됐다. 수술은 순조롭게 진행돼 10시30분에 끝났다. 회복실 회복을 거쳐 박 전 대통령은 12시30분쯤 재입실했다. 수술 준비와 마취, 시행, 그리고 회복 등에 총 3시간이 걸렸다.


김 교수는 “박 전 대통령은 왼쪽 어깨에 인대 파열이 진행돼 수술을 들어갔더니 자기공명영상법(MRI)에서 보이지 않던 관절염 소견이 나왔다”며 “회전근개 힘줄 중 극상근 파열, 이두근 부분 파열, 이른바 ‘오십견’이라고 불리는 동결견, 관절염까지 총 4가지 복합 병명”이라고 박 전 대통령의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전신마취 후 파열된 인대를 봉합하고 유착된 관절주머니를 이완하는 수술을 진행했으며, 관절염에 대해서는 어깨에 카메라를 넣어서 하는 관절경 수술과 관절낭이완수술을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교수는 박 전 대통령이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의 회복에 3개월 정도가 걸릴 것이라는 소견을 밝혔다.


김 교수는 “박 전 대통령은 1년 정도 주사와 약물을 복용했음에도 병이 상당히 진행돼 수술 후에도 재활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처음 4주간 지속적수동운동기구(CPM)를 착용해 저절로 관절을 움직이는 수동적 운동을 하고, 이후 4주는 스스로 관절을 움직이는 능동적 운동을 하며 재활한다. 이후 의료진 판단으로 전체 입원기간을 결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또 김 교수는 “퇴원을 하면 재활치료가 제대로 안 될 것”이라면서 “(구치소에서도) 나름대로 원칙이 있고 특혜를 줄 수는 없기 때문에 특정한 재활요원을 붙이기보다는 큰 문제가 없을 때까지 (입원 상태에서) 재활할 예정이며, 2~3개월 정도 생각하고 있으나 짧아질 수도 길어질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3개월 후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6개월~1년까지는 회복기간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관절염은 (수술 후에도) 계속 가지고 있게 될 것이며 왼쪽보단 나쁘지 않지만 오른쪽 어깨도 진행 양상에 따라 더 악화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왼쪽 뿐 아니라 오른쪽 어깨도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걱정되는 것은 8주 간 수술한 팔을 사용하면 안 되는데, (박 전 대통령이) 반대편 어깨도 문제가 있어 아침에 주사치료를 했다”면서 “경과를 봐야 하지만 수술한 10명 중 5명은 반대편 팔도 이완돼 같이 수술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박 전 대통령은 전날 평소 극심한 통증을 호소해온 어깨 수술을 위해 서울성모병원에 입원했다. 그간 서울구치소는 소속 의료진의 진료 및 외부 의사의 초빙 진료, 외부 병원 후송 진료 등을 통해 박 전 대통령 치료를 진행해 왔으나 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정밀 검사결과 수술이 필요하다는 전문의 소견이 나온데 따른 것이다.

지난 5일 박 전 대통령은 허리 통증 심화 등을 이유로 형 집행정지를 신청했지만, 검찰은 지난 9일 형 집행정지 사유가 없다고 결정했다. 또 지난 4월에도 측근 유영하 변호사를 통해 “칼로 살을 베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며 형 집행정지를 신청했지만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