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식약처, ‘UN 만성질환 예방·관리 특별위원회상’ 수상··“비만·당뇨 예방에 힘써”

어린이 식생활 안전정책 선도 추진기관으로 선정

이의경(오른쪽) 식약처 처장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4차 UN 총회 행사에서 ‘UN 만성질환 예방·관리 특별위원회상(UNIATF Awards 2019)’을 받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식약처이의경(오른쪽) 식약처 처장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4차 UN 총회 행사에서 ‘UN 만성질환 예방·관리 특별위원회상(UNIATF Awards 2019)’을 받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4차 UN 총회 행사에서 ‘UN 만성질환 예방·관리 특별위원회상(UNIATF Awards 2019)’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그간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 TV 광고를 제한하는 등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 예방·관리에 선도적으로 힘쓴 점을 인정받았다.

정부는 2008년에 제정된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지난 10여년간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 TV 광고 제한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어린이들이 TV를 주로 시청하는 시간대인 저녁 5시부터 7시까지 비만 등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의 광고를 금지하고, 교육·만화 등을 전문으로 하는 어린이 채널(11개)의 경우 중간광고도 금지하고 있다.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을 팔면서 장난감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내용인 경우 TV뿐만 아니라 라디오, 인터넷을 통한 광고도 못 하게 하고 있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정부의 노력이 UN에서 인정받은 것은 어린이 비만 예방관리 등을 위한 식생활 관리 기반 구축과 양적 개선에 뚜렷한 성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어린이 기호식품은 과자,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컵라면, 햄버거 등 어린이가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식품을 말한다.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은 어린이 기호식품 중 열량이 높고 영양가가 낮아 비만이나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식품을 뜻한다.

현재 고열량·저영양 어린이 기호식품은 2천885개 제품이 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