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농기원, 떠먹는 쌀음료 개발…기술이전 계약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쌀 소비량 증가를 위해 ‘쌀발효푸딩 제조기술’을 개발해 농업회사법인 (주)술샘에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쌀발효푸딩은 쌀을 엿기름이나 누룩 등으로 당화해 한천으로 젤 형태로 가공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간편성과 편리성을 갖춘 식사대용 쌀 발효제품으로 대중성 높은 간식뿐만 아니라 학교 급식용 제품으로도 공급될 수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쌀 소비량은 감소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외식비는 약 33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지만, 가공식품 지출액은 약 20만원으로 2017년 대비 증가했다고 한다.


가공식품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원물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살린 가공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첨가물을 줄인 웰빙 식품이나 밀가루 대신 쌀을 원료로 하는 국수와 빵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관련기사



또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결식률은 35%에 달하며, 아침 결식에 의한 학습능력 저하와 패스트푸드 섭취 증가에 따른 영양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아침급식 확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쌀가공식품을 활용한 아침 간편식을 지원함으로써 식습관 교육과 쌀 가공산업 육성의 효과를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경기농기원은 쌀 가공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노력해왔다.

지난 2009년부터 농식품가공팀을 조직하여 전통주, 쌀빵, 쌀음료, 식사대용식품 등 약 45종의 제품을 개발하여 16건의 특허기술을 확보했으며, 약 60개 업체에 기술이전 하는 등 쌀을 포함한 경기농산물 소비확대를 위해 경기도 농업 R&D의 역량을 높여왔다.

지정현 경기농기원 작물연구과장은 “쌀 가공제품도 식품소비패턴의 변화에 맞게 신속하고 다양하게 변화돼야 하며, 경기미가 밥쌀로서의 명성에 이어 가공식품과 디저트 시장에도 자리매김해 쌀 소비가 촉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