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고민 많은 둔촌주공, 후분양제로 갈까

"상한제 적용보다 낫다"

일부 조합원 표결 주장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전망되는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에서 장기전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상한제를 적용받는 것보다 후분양을 택하는 것이 낫다는 주장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일부 조합원들이 전체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후분양 여부를 투표에 부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둔촌주공은 현재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상한제 적용이 유력시 된다. 이렇다 보니 일단 착공을 하고 나중에 분양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권이 교체되면 상한제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현재 둔촌주공아파트 철거는 90%가량 진행된 상황이다. 조합은 건축물 철거를 모두 마친 후 이르면 오는 11월 관리처분총회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단 분양가상한제 도입 시기나 세부 내용에 따라 일정은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다.

관련기사



과거 조합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3.3㎡당 분양가로 2,600만원 정도를 제시하자 후분양 선회를 고려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분양가상한제 소급적용을 추진하면서 상황이 달라지게 됐다.

조합은 현재 언급되고 있는 분양가가 적용될 시 주변 시세에 미치지도 못하는 ‘로또 아파트’가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 조합원은 “가까이에 있는 ‘올림픽선수기자촌 아파트’가 3.3㎡당 평균적으로 4,500만원 가량에 거래되는 점을 고려했을 때 2,000만원대 분양가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조합원들 이익을 뺏어 일반분양자에게 ‘로또’를 주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둔촌 주공 아파트 철거 현장./서울경제DB둔촌 주공 아파트 철거 현장./서울경제DB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