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포에버21' 350개 매장 셔터 내린다

온라인 쇼핑 트렌드에 역행 '휘청'

결국 자금난 몰려 파산보호 신청

캐나다 퀘백에 위치한 ‘포에버21’ 매장 전경. /플리커캐나다 퀘백에 위치한 ‘포에버21’ 매장 전경. /플리커



미국에서 5달러(약 6,000원)짜리 톱(상의) 등 저가 의류를 앞세우며 패스트패션을 선도해 온 한인 의류업체 ‘포에버21’이 29일(현지시간)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이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포에버21은 미국 델라웨어주 연방파산법원에 파산법 11조(chapter 11)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했다. 파산법 11조는 파산 위기에 처한 기업이 즉각 청산하는 대신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영업과 구조조정을 병행하며 회생을 시도하도록 하고 있다.

포에버21은 이날 파산보호 신청 발표를 하면서 글로벌 구조조정에 돌입해 캐나다, 일본 등 40개 국가에서 사업체를 폐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 178개 점포, 전 세계적으로는 최대 350개 점포가 문을 닫게 된다.


다만 포에버21은 매장 소유주가 운영하는 미국 내 수백개 점포와 멕시코 등 중남미에 있는 점포, 웹사이트 운영은 계속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린다 장 포에버21 부회장은 NYT와의 인터뷰에서 “(구조조정을 통해) 상황을 단순화해서 우리가 가장 잘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돌아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린다 장의 부모인 장도원, 장진숙씨가 1980년대 한국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뒤 설립한 포에버21은 저가 패션을 주도하며 2000년대 초반 큰 성공을 거둬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 타깃인 10대와 젊은이들이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 트렌드에 맞춰 다른 의류업체들이 매장 수를 줄이는 것과 반대로 공격적으로 매장을 늘린 포에버21은 결국 자금난에 몰려 파산보호 신청을 하기에 이르렀다.

린다 장 부회장은 “우리는 6년도 안 되는 기간동안 7개국에서 47개국으로 확장하면서 많은 문제에 부딪쳤다”며 “매장 방문객이 줄고 온라인으로 매출이 더 많이 넘어가는 등 소매산업이 확실히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이 입수한 파산 신청서에는 포에버21의 부채가 자회사를 포함해 10억~100억달러(1조2,000억~12조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실적도 하락하면서 2016년 44억달러였던 매출액은 지난해 33억달러로 추락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