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라돈침대’ 원료물질 모나자이트 일부...행방 아직까지 파악 안돼

여전히 모나자이트 보관하고 있는 업체들도 확인

신용현 의원 "업체 보관 원료 454㎏도 폐기돼야해"

7일 신용현 의원 바른미래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나자이트를 산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이 보관하고 있던 모나자이트 약 3.35t의 행방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신용현 의원실/연합뉴스7일 신용현 의원 바른미래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나자이트를 산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이 보관하고 있던 모나자이트 약 3.35t의 행방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신용현 의원실/연합뉴스



‘라돈 침대’ 사태를 일으킨 원료물질 모나자이트 3.35t의 행방이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7일 신용현 의원 바른미래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나자이트를 산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이 보관하고 있던 모나자이트 약 3.35t의 행방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여전히 모나자이트를 보관하고 있는 업체들도 확인됐다. 내수용 가공제품 업체 19곳이 332.3㎏, 해외수출 업체 11곳이 103㎏, 실험·연구 업체 23곳이 총 17㎏을 보관하고 있다.

관련기사



모나자이트는 이른바 ‘음이온 효과’를 위해 침대 등 여러 제품에 사용됐다. 그러나 일부 제품에서 국제암연구센터(IARC) 지정 1군 발암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 방출된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신용현 의원은 “‘라돈 침대’, ‘라돈 베개’ 등에 대한 우려가 잦아들지 않는 상황에서 3.35t에 달하는 모나자이트의 관리상태가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시점에도 불분명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는 “행방 확인이 안 되는 모나자이트 외에 업체 보관 중인 454.3㎏에 대해서도 속히 폐기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아임인턴기자 star454941@sedaily.com

정아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