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용인시, 원삼면 일대 독립운동가 20명에 유공자 포상 신청

용인시는 경기동부보훈지청, 용인시의회와 함께 16일 1919년 당시 용인 3·21만세운동에 참가했던 원삼면 일대 미서훈 독립운동가 20명의 포상을 국가보훈처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가 협업해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신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포상 신청은 시가 ‘3·1만세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지난 8월 경기동부보훈지청과 용인 3·21만세운동을 공동 조사하던 중 처인구 원삼면 주민센터 문서고에서 일제가 남긴 수형인 명부를 찾아내면서 시작됐다.

이 명부에는 당시 만세운동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태형 90대를 맞은 20명의 독립운동가의 기록이 남아있다. 이들의 죄명은 ‘보안법위반’, 형의 명칭은 ‘태 90’, 즉결 청명은 ‘용인헌병분대’로 기록돼 있다.


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출생지, 직업, 판결연도일 등이 상세하게 남아 있어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하게 된데 결정적인 증거자료가 됐다.

관련기사



백군기 용인시장과 박용주 경기동부보훈지청장, 이건한 용인시의회의장은 이날 시청 콘퍼런스룸에서 이런 내용의 신청서에 공동으로 서명하고 국가보훈처에 신청했다.

백 시장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고초를 치른 선열들을 100년이 지나서야 깊은 문서고에서 깨워드려 송구한 마음”이라며 “20명의 독립운동가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릴 수 있도록 경기동부보훈지청과 용인시의회가 함께 노력해 줘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이번에 관련 조례까지 만들면서 용인의 독립운동사를 재조명하고 애국정신을 확산하려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유공자들에 존경과 예우를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청장은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선열의 흔적을 찾고 그 업적을 기릴 수 있게 돼 영광스럽다. 국가기관과 지자체가 합심해 독립 역사를 밝히는 데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 3·21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1일∼4월 2일 용인군 전역에서 1만3,200여명이 참가한 지역 최대의 독립운동으로 35명이 희생됐고, 140명이 부상·500명이 투옥됐다. 이 가운데 21명은 지난 1990∼2006년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