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음 '연예뉴스 댓글·인물 관련 검색어' 없앤다

설리 등 악성 댓글 논란 영향

카카오톡 실시간 이슈도 삭제

"내년 상반기엔 뉴스 개편할것"

25일 오후1시 전후로 카카오톡 ‘#검색’ 탭의 실시간 이슈 검색어(빨간 사각형)가 사라졌다./스마트폰화면캡처25일 오후1시 전후로 카카오톡 ‘#검색’ 탭의 실시간 이슈 검색어(빨간 사각형)가 사라졌다./스마트폰화면캡처




조수용(왼쪽)·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가 25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오피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뉴스 및 검색 서비스 개편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제공=카카오조수용(왼쪽)·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가 25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오피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뉴스 및 검색 서비스 개편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제공=카카오


카카오(035720)가 최근 포털사이트를 둘러싼 댓글 논란에 대한 대책으로 자사가 운영 중인 ‘다음’ 포털사이트에서 이달 중 연예 뉴스의 댓글을 잠정 폐지하기로 했다. 인물 키워드에 대한 관련 검색어도 연내 없애기로 결정했다. 이날 오후1시부터는 카카오톡 ‘#탭’의 실시간 이슈 검색어도 삭제했다. 최근 가수 겸 배우 설리의 사망을 계기로 악성 댓글이 사회적 문제로 주목받으면서 단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는 25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오피스에서 ‘뉴스 및 검색 서비스 개편’에 대한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여 대표는 “최근 안타까운 사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예 섹션 뉴스 댓글에서 발생하는 인격 모독 수준은 공론장의 건강성을 해치는 데 이르렀다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사회·정치적 사건과 달리 연예는 개인 자체를 조명하는 게 강하고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크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여 대표는 “인물 키워드에 대한 관련 검색어도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편의를 높인다는 애초 취지와는 달리 사생활 침해와 명예훼손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고 판단했다”며 개편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카카오는 내년 상반기에 뉴스 서비스도 개편할 계획임을 밝혔다. 여 대표는 “오랜 논의를 거쳐 ‘카카오만이 할 수 있는 구독 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만들자는 방향을 잡았고, 그에 맞춰 새로운 플랫폼 준비에 착수한 상태”라면서 “댓글 서비스를 폐지하거나 기사를 생산하는 미디어에 자율 결정권을 주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국인터넷자율기구(KISO)는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 올리기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를 맡은 이상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이용자별로 차별화된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치적 이벤트가 있거나 상업적으로 악용될 경우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