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시진핑 후계자·홍콩시위 논의하나…中 공산당 4중전회 개최

‘헌법개정’ 3중전회 이후 20개월만에 개최…홍콩시위 책임론 대두

中 당국, 통치 체계·통치 능력 현대화 의제 발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신화=연합뉴스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신화=연합뉴스



중국 공산당의 전반적인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제19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28일 시작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집권 2기 반환점을 지나는 시점에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서는 집권 전반기 성과를 평가하고 후반기 중국 당 지도부의 정책 방향을 설정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는 지난해 2월 3중전회 이후 약 20개월 만이다. 앞서 집권 회기 중 지도부의 정책 방향과 전체적인 로드맵을 공포하는 3중전회가 국가주석 임기 제한을 없애는 헌법개정을 위해 조기 개최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4중전회의 의미는 남다르다. 시 주석은 지난 24일 주재한 정치국 회의에서 4중전회 논의 의제로 중국 특색사회주의 제도의 견지와 완비, 국가 통치 체계와 통치 능력의 현대화 등을 꼽았다. 여기서 ‘중국 통치 체계 현대화’는 중국 지도부 체계에 변화를 줄 것을 시사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그간 미뤄뒀던 후계자 선정이 이뤄지거나 정치국 상무위원 수를 대폭 조정하는 등 통치체계에 큰 변화를 줄 가능성도 제기됐다. 홍콩 명보(明報)는 “이번 회의에서 상무위원 수가 7명에서 9명으로 늘어나고 시 주석의 후계자로 거론돼 오던 천민얼(陳敏爾·59) 충칭(重慶)시 당 서기와 후춘화(胡春華·56)가 신임 상무위원으로 임명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시 주석이 집권 이후 1인 체제를 공고히 해온 만큼 굳이 후계자 지명을 통해 리더십을 약화하는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이번 회의에서 후계자를 지명한다는 것은 시 주석의 권력을 공고히 하겠다는 목표와는 배치되는 결정”이라며 “그보다는 논란이 장기화하는 홍콩 시위 사태 등에 대응해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등 국가 통치 체제를 손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미중 무역전쟁과 홍콩 시위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이들 문제와 관련한 문책이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캐리 람 장관이 이번 사태를 책임지고 물러날 수도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일 건국 70주년을 맞아 사상 최대 규모의 열병식을 개최하는 등 대외적으로 발전 성과를 과시하려 했으나 같은 날 홍콩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면서 체면을 구긴 바 있다. 현재 홍콩·마카오 사무를 총괄하는 한정(韓正) 정치국 상무위원과 캐리 람 행정 장관이 이에 대한 문책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최고 지도부 중 한 명인 한정 상무위원에 대한 문책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반론도 나온다. 베이징 소식통은 “한정 상무위원에 대한 문책은 집단지도체제를 표방하는 중국공산당의 정치적 전통에 따라 곧 시 주석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될 수 있다”면서 “집권 2기에 들어서면서 1인 체제를 공고히 한 시 주석에 대한 비판이 공식적인 회의 석상에서 주요 의제로 논의될 가능성은 작다”고 예상했다.

중국 지도부는 관례에 따라 4중전회 논의 결과를 회의가 끝나는 31일 공개할 예정이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