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시민 "윤석열, 8월 중순 '조국 사법처리감' 발언해…내사자료 보고 판단했을 것"

/사진=유튜브/사진=유튜브



“조국을 법무부 장관 임명하면 안 된다. 내가 봤는데, 몇 가지는 아주 심각하다. 법대로 하면 사법처리감이다. 내가 사모펀드 쪽을 좀 아는데, 이거 완전 나쁜 놈이다. 대통령께 말씀드려서 임명 안되게 해야한다. 그냥 가면 장관 되어도 날아갈 사안이다. 내가 대통령 직접 뵙고 보고 드리고 싶다. 이건 대통령을 향한 내 충정이다. 사적으로 조국한테 무슨 악감정이 있어서 이러는 게 아니다. 정말 걱정돼서 하는 이야기다. 이런 거 알려지면 검사들이 장관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들고 일어난다. 임명하면 진짜 안 된다.”

노무현재단 유시민 이사장이 29일 검찰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지명 전후 조 전 장관 일가를 내사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윤석열 검찰총장이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면서 한 것으로 알려진 발언을 공개했다. 유 이사장이 지난 22일 이같은 주장을 펼친 데 대해 검찰이 ‘허위 사실’이라며 반박하며 ‘주장의 근거를 대라’고 요구하자 이날 윤 총장이 한 것으로 알려진 발언을 밝힌 것이다. 검찰 측은 방송 직후 “근거 없는 추측성 주장을 반복했을 뿐 합리적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했다”고 했다.


유 이사장은 이날 오후 재단 유튜브 방송 ‘유시민의 알릴레오’를 통해 윤 총장이 8월 중순 조 전 장관이 부적격하다는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청와대 외부인사 A씨에게 문재인 대통령 면담을 부탁하며 했다는 상기의 발언을 공개했다.

/사진=유튜브/사진=유튜브


유 이사장은 윤 총장이 해당 발언을 한 시점에 대해서는 “조 전 장관이 지명된 8월 9일과, 검찰의 (조 전 장관 일가에 대한) 첫 압수수색이 있었던 8월 27일 사이 중간쯤에 있는 어느 날로, 8월 중순”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전한 윤 총장의 발언과 관련해 “윤 총장은 대통령을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A씨를 만났는데 (발언 내용을) A씨에게서 취재했다”며 “동일한 이야기를 그즈음 계속 사석에서 했다는 것을 다른 곳에서도 확인했다”고 전했다.

유 이사장은 A씨에 대해 “청와대 사람은 아니고 외부 사람이며 윤 총장이 대통령과의 면담을 부탁할 만한 사람”이라며 “대통령에게 말을 전할 수 있는 사람이며 여기까지가 팩트”라고 설명했다.

유 이사장은 “윤 총장 발언 중 몇 가지는 아주 심각한데, 여러 가지를 이미 봤다는 뜻이며, 발언한 시점도 공식 수사 착수 전”이라며 “윤 총장 같은 숙달된 검사로 하여금 이런 확신을 갖게 한 근거가 있었을 것이다. 그것이 내사 자료일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8월 중순에 이미 이런 판단을 형성했을 정도면 내사 시기는 지명된 8월 9일 전후를 다 포함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며 그것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유 이사장은 이어 “조 전 장관 혐의에 대해 (윤 총장이) 강력한 예단을 형성할 정도라면 당연히 내사 자료가 있었을 것”이라며 “해당 자료 생성은 조 전 장관 지명 전후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유 이사장은 ‘내사 자료’ 출처와 관련해 “옛 대검 범죄정보기획관실과 서울중앙지검 범죄정보과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며 “청와대 민정수석실 고위공직자가 아는 사람과 회식하면 누가 어떤 카드로 결제했는지 미행하며 (확인하는) 활동을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사진=유튜브/사진=유튜브


그러면서 “조 전 장관이 청와대에 사표를 내고 법무부 장관 기용설이 나왔을 때 이미 대검과 서울중앙지검에 ‘조국 파일’이 있었을 것이며, 지명이 확실해지니 업데이트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내사자료가 오니 당장 공식 라인을 통해 대통령에게 정보보고해야 하는데, 응답이 없어 대면보고 해야겠다고 요청하는 것이 맞다”며 “대통령이 받아주지 않아 대통령에게 전할 수 있는 인사에게 ‘SOS’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유 이사장은 “윤 총장이 이 방송을 보고 있다면 A씨가 누구인지 금방 짐작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윤 총장이 부하들에게 속고 있다’는 앞선 자신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지난번에 윤 총장이 속고 있다고 했는데, 내사자료가 과장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윤 총장은 최초 내사 자료를 보고 조 전 장관도 문제라고 보고, 확신이 있어 전격적 압수수색으로 인사청문회 일정이 논의되는 과정에 ‘조국 사퇴하라’고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검사들이 내사 자료를) 부풀렸을 수 있다”며 “(윤 총장의) 최초 예단이 형성되었을 때, 그 보고에 문제가 있었을 것이며 두 달 동안의 수사 진행 상황을 볼 때 조 전 장관이 사법처리감이라고 윤 총장이 판단을 할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초 내사 자료는 좋게 말해서 검사들이 판단 착오한 것이고, 나쁘게보면 조 전 장관을 절대 못오게 하려고 윤 총장을 움직여 ‘조국을 아작내야겠다’고 한 것”이라며 “그래서 속고 있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검찰청은 유 이사장의 방송 직후 “오늘 (유 이시장이 내사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겠다고 예고했지만, 근거 없는 추측성 주장을 반복했을 뿐 기존 주장에 대한 합리적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근거 없는 추측으로 공직자의 정당한 공무수행을 비방하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