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전셋값보다 더 오른 매매가…"아파트 갭투자 힘들어졌네"

서울 전세가율 58%로 하락

입주 1년차 아파트는 62%

최고점 대비 20%P 떨어져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매매가 상승세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세가율이 대폭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주 1년 차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최고점 대비 20%포인트 이상 떨어지는 등 갭 투자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경제만랩이 30일 KB부동산 주택가격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59.8%였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지난 9월 58.0%로 1.8%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강북 지역은 63.0%에서 61.1%로 1.9%포인트 떨어져 1.7%포인트 하락한 강남(57.1%→55.4%)보다 큰 낙폭을 보였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 하락 폭이 가장 컸던 곳은 올해 입주물량이 몰린 강동구였다. 강동구는 1월 61.1%에서 9월 57.8%까지 떨어지면서 3.3%포인트나 하락했다. 전세가율 하락은 전셋값이 떨어졌기 때문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매매가가 더 많이 올랐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실제로 서울 강동구 고덕동 ‘롯데캐슬퍼스트’ 전용면적 84㎡는 이 기간 전세가가 5억 2,000만원에서 5억 4,750만원으로 올랐다. 하지만 매매가는 1월에 9억 1,000만원에서 9월에 10억원으로 9,000만원이나 뛰면서 전세 상승률을 뛰어넘었다.

관련기사



입주 1년 차 새 아파트에서 전세가율 하락은 더욱 두드러진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전국 입주 1년 차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2.58%로 2016년 최고점(74.09%) 대비 11.5%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6.84% 2015년 최고점(77.63%) 대비 20.79%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 “풍부한 유동자금과 저금리 영향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수요가 서울 주요지역 새 아파트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가격 격차가 당분간 벌어지면서 낮은 전세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