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주산연, “주택 투자 늘리지 않으면 경기회복 어렵다”




올 상반기 국내 경제위축의 주요 원인은 주택투자 부진이며,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민간주택투자회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5일 열린 ‘위기의 주택산업, 새로운 도약을 위한 대응전략 모색’ 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실장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이후 주택산업의 GDP 성장 기여도가 마이너스로 전환되면서 경제성장도 둔화되고 있다. 특히 올 상반기 1.9%에 그치는 등 GDP 성장률 저하에 주택투자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다. 올 상반기 주택투자는 46조 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2.3% 감소했다. 이에 따라 GDP 성장 기여율은 39.6%, GDP 성장 기여도는 0.74%포인트 줄었다. 김 실장은 “건설투자의 GDP 성장 기여도 0.76%포인트 가운데 주택산업이 0.74%포인트를 차지하고 있다며 일반건설업보다도 주택산업이 경제성장 부진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산연에 따르면 건설뿐만 아니라 유리, 도배, 미장, 기반조성, 도로건설 등 한국표준산업분류 465개 산업 가운데 65개가 주택과 관련이 있다. 1조원을 주택에 투자할 시 2조5,200억원의 생산액이 발생하고, 1만 1,970명의 일자리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