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청라 국제업무지구에 '4차산업' 새로 입힌다

14년 표류끝 개발 콘셉트 수정

AI·빅데이터·IoT 기능 등 추가

인천경지청, 실시계획 변경 추진

0625A29 인천 청라 국제업무지구 사업 개요



14년째 표류하고 있는 인천 서구 청라지구 내 국제업무단지 개발 콘셉트가 새로 짜여질 전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청라지구의 개발방향을 기존의 국제금융업무 기능에서 4차 산업(인공지능·빅 데이터·사물인터넷) 기능을 추가로 도입, 비즈니스 거점으로 개발하기로 하고 실시계획 변경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청라 국제업무단지는 2005년 8월 개발계획이 승인된 이후 14년째 투자 유치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인천경제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 5~6월 주민·학계·전문가 등의 자문을 거쳐 ‘미래발전전략 수립 용역’에 착수, 개발 콘셉트·계획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도시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이어 연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개발계획 변경 승인을 받아 내년 5월 민간사업자 공모 공고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하반기에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인천경제청과 LH는 공모에 앞서 늦어도 내년 1월까지 기업투자유치설명회(IR)를 여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27만8,722㎡의 청라 국제업무단지는 지난 2013년 12월 국제업무타운 개발사업자로 선정된 포스코·펜지아 컨소시엄이 부동산경기 침체와 금융중심지 지정 무산으로 계약이 해지되면서 지연되고 있다. 이어 지난 4월 JK미래·인베스코 컨소시엄과 체결했던 ‘글로벌 스마트시티(G-City) 프로젝트’ 양해각서(MOU)의 유효기간 종료로 또 다시 민자유치가 무산된 바 있다.

G-City 프로젝트 무산은 JK미래가 제시한 투자유치계획의 실체가 없고 개발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생활형 숙박시설 8,000실 건립 허용 등 무리한 요구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은 대규모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은 국제업무단지의 성격에 맞지 않고 도시기반시설의 부족을 불러오는 등 청라지구의 품격과 가치를 떨어뜨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반면 주민들은 국제업무단지 개발이 크게 늦어진 만큼 구글 등 세계적인 회사의 투자를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후 구글과 LG전자 등은 G-City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하거나 입주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결국 MOU가 종료됐다.

인천경제청은 청라 국제업무단지 조성사업 재추진을 서둘러 향후 일정을 제시하고 있지만 계획대로 될 지는 미지수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청라지구 사업시행자인 LH가 새로운 사업계획을 수립하면 산업부의 개발계획 변경 승인과 공모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국제업무단지 조성사업을 투명하고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