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AI 석학 만난 이재용 "미래를 선점하자"

딥러닝·뇌기반 AI 연구자와 만나

인재 영입·AI 전략 방안 등 논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더 큰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생각의 한계를 허물고 미래를 선점해 갑시다.”

이재용(사진)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은 6일 세계적인 인공지능(AI) 석학들을 만나 삼성전자의 AI 전략을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미래를 이끌 성장 사업 가운데 AI에 방점을 찍고 투자뿐 아니라 직접 국내외 현장 점검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이날 석학들과의 만남도 AI 사업과 인재영입 등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이 부회장이 직접 마련했다.


이 부회장과 이날 만난 세계적 석학은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 세바스찬 승(한국명 승현준) 프린스턴대 교수 등이다. 벤지오 교수는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 얀 르쾽 뉴욕대 교수,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등과 함께 AI 분야 세계 4대 구루로 꼽히는 인물들이다.

관련기사



딥러닝 관련 AI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벤지오 교수는 차세대 음성인식 성능 혁신을 위한 신경망 네트워크(Recurrent Neural Network) 설계 및 학습 알고리즘 개발 분야의 권위자로 지난해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튜링상(Turing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 몬트리올에 인공지능랩을 설립해 벤지오 교수와 공동으로 영상·음성 인식, 자율주행 등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이때의 인연을 시작으로 벤지오 교수는 4~5일 양일간 열린 ‘삼성 AI 포럼 2019’에 3년 연속 연사로 참여해 메타러닝과 강화 학습 등 딥러닝 분야의 핵심 기술을 소개했다.

승 교수는 뇌 활동을 모방한 뇌 신경공학 기반 AI 연구를 개척한 세계적 석학으로 지난해부터 삼성리서치 CRS(Chief-Research-Scientist)를 겸직하며 삼성의 AI 전략 수립과 선행연구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AI 주도권을 잡기 위해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기준 5개국에 7대 글로벌 AI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 인재들을 꾸준히 영입 중이다. AI 산업의 최신 트렌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AI 포럼도 올해로 세 번째 열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