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범죄온상 ‘다크웹’ 수사 고삐 죈다

경찰, 지방청 사이버수사대로 확대

본청 전담팀도 수사인력 늘리기로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경찰이 아동음란물과 마약 유통 등 각종 범죄의 통로가 되고 있는 ‘다크웹’(dark web)에 대한 수사를 전국 단위로 대폭 확대한다.

10일 경찰청은 본청 전담팀 6명이 도맡아온 다크웹 수사를 앞으로 전국 지방청 사이버수사대로까지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찰청은 이번 주 중 다크웹 수사지시를 담은 공문을 전국 지방청에 하달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경찰청과 지방청 사이버수사대는 최근 다크웹 수사와 관련한 모의훈련도 함께 진행했다. 또 현재 경찰청 내 1개 팀이 전담하고 있는 다크웹 수사에 다른 팀도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정석화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1대장은 “최근 한국인이 운영한 아동음란물 사이트 검거를 계기로 지방청에서도 다크웹 수사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본청과 중복되지 않게 다크웹 수사대상 사이트를 배정해 지방청에 내려보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특정 브라우저로만 접속할 수 있는 비밀 웹사이트를 뜻하는 다크웹은 아이피 주소 추적이 어렵다는 점을 악용해 아동·청소년음란물이나 마약·무기류가 불법유통되는 등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

특히 경찰은 다크웹을 통한 아동·청소년 음란물 유통행위 검거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앞서 경찰청은 한국인 손모(23)씨가 운영해온 아동음란물 사이트에 대한 국제공조수사를 벌여 지난달 32개국에서 사이트 이용자 310명을 검거했다. 이 중 한국인은 223명에 달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다크웹 운영자는 물론 이용자도 처벌 대상”이라며 “다크웹에서 이뤄지는 아동·청소년 음란물 유통과 마약·총기 밀매, 청부 해킹 등에 대해 최대한 많은 경찰관을 투입해 철저히 수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8월 초 하루 평균 약 2만명까지 급증했던 한국 내 다크웹 접속자는 9월부터 1만3,0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