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난해 건물 증여, 부부간 증여 이례적 급증...잇따른 부동산 대책 영향 커

/서울경제DB/서울경제DB



지난해 건물 증여와 부부 사이 증여가 이례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11일 국세통계에 따르면 2018년 증여세 신고 대상 재산과 신고 인원은 각 27조4,114억원, 14만5,139명으로 1년새 17%, 13%씩 늘었다. 1인당 평균 증여 신고액이 1억8,900만원 수준으로, 2017년(1억8,173만원)보다 4% 늘었다.

토지가 신고 건수(5만5,000건)와 금액(8조5,000억원)에서 모두 최대 증여 자산이었지만,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주택을 포함한 건물 증여였다. 건수(4만1,681건)와 증여 신고액(8조3,339억원) 증가율이 각 28%, 42%에 이르렀다.


증여·수증인(증여를 받는 사람)의 관계를 보면, 부부 간 증여가 가장 큰 폭으로 불었다. 건수(3,164건)와 신고액(2조6,301억원)이 2017년보다 45%, 42% 급증했다. 부부 사이 증여된 자산의 평균 신고액은 8억3,128만원이었다.

관련기사



이처럼 건물 증여와 부부 사이 증여가 이례적으로 늘어난 이유로는 집값이 계속 오르는 데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으로 향후 공시가격 인상과 보유세 등 세금 중과(重課)가 예상되면서, 절세 차원에서 일찌감치 부동산 증여를 선택한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상속세의 경우 지난해 총 신고재산은 2017년(16조5,329억원)보다 24% 많은 20조4,604억원, 신고인원은 21% 늘어난 8,449명으로 집계됐다. 피상속인(사망자) 1인당 평균 상속 재산(24억2,164만원)도 전년(23억7,200만원)보다 2% 증가했다. 상속 자산을 종류별로 보면, 건수로는 금융자산(7,026건)이 가장 많고 이어 건물(6,762건), 토지(5,649건) 순이었다.

하지만 신고액 기준으로는 토지가 5조7,000억원으로 1위였고, 전년 대비 상속 신고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자산은 유가증권(60%·2조8,681억→4조5,827억원)이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