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성장특례' 문턱 낮아 신뢰도↓...바이오株 투심 악화도 한몫

[성장성 특례상장 1년...주가 부진 왜?]

기술특례상장 비해 투자자 외면

라파스, 코스닥 상장 데뷔 첫날

시초가보다 9.52% 하락 마감

기업 4곳 중 3곳이 바이오업체

'1호' 셀리버리만 205% 치솟아

"코스닥 시황 안좋아 타격" 분석도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바이오·정보기술(IT) 업체들의 주가 상승률이 기대에 비해 부진한 모습이다. 기술특례상장에 비해 기술평가 문턱이 낮다 보니 기술력에 대한 신뢰가 비교적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이유로 꼽힌다.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는 증권사나 투자은행(IB)이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추천한 기업에 대해 상장 시 기술평가나 경영요건 등을 일부 면제해주는 제도다.

11일 주식시장에서 라파스의 주가는 시초가인 1만9,950원에 비해 9.52% 하락한 1만8,05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은 라파스가 코스닥시장에서 처음으로 거래된 날이기도 하다. 라파스는 마이크로니들 전문 업체로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활용해 코스닥시장에 들어선 업체들의 주가상승률은 대체로 좋지 않은 편이다. 시스템반도체 기반 통신칩을 개발하고 있는 라닉스(317120)는 지난 9월18일 처음으로 거래된 후 시초가 대비 주가상승률이 0.9%에 그쳤다. 리보핵산(RNA) 치료제를 개발하는 올리패스(244460)의 주가 하락 폭은 더 크다. 올리패스는 9월20일 상장 이후 시초가 3만600원을 기록했는데 이날 기준 종가는 1만9,750원으로 시초가에 비해 35.5%나 줄었다.

다만 ‘성장성 특례상장 1호’ 기업인 바이오 의약품 업체 셀리버리(268600)는 지난해 11월9일 상장하고 나서 주가가 205%나 뛰었다. 올 3월 초 고도비만·당뇨병 치료 후보물질과 관련해 특허를 취득했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연달아 상한가를 찍은 영향이 컸다. 단 상장 직후 한두 달 동안은 계속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해 12월에는 1만9,650원까지 하락, 시초가에 비해 38.6%나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증권가에서는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들어선 기업의 ‘기술’에 대한 신뢰가 기술특례상장을 활용한 기업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성장성 특례상장제도와 기술특례상장제도 모두 기술력이나 성장성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심사 부담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성장성 특례상장제도의 경우 기술특례상장제도와 달리 까다로운 기술성 평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올리패스도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하다 성장성 특례상장 심사로 우회했다.

관련기사



이는 자기자본 10억원 이상, 자본잠식률 10% 미만 등의 요건을 충족하되 상장주관사(증권사)가 기술을 보장해주면 성장성 특례상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이 회사를 추천한 증권사는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상장한 회사의 주가가 상장 이후 6개월 이내에 부진할 경우 공모가의 90% 가격으로 공모주 투자자의 주식을 되사줄 책임(풋백 옵션)이 있다.

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위원은 “기존에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들어온 바이오 업체들은 파이프라인 가치에 따라 시가총액이 형성되고 분위기에 따라 바로 가치반영 작업이 이뤄지면서 주식시장에서 인기몰이를 했는데 성장성 특례상장 기업의 경우 순수 바이오테크로 보기 어려운 사례도 있어 콘셉트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성장 기업의 판로를 개척해준다는 기존 취지와 달리 성장성 특례상장을 이용하는 기업 대다수가 바이오벤처였던 점도 결과적으로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활용한 기업의 주가가 낮아 보이는 현상을 초래했다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성장성 특례를 활용해 상장한 기업 4곳 중 라닉스를 제외하면 모두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업체다. 현재 성장성 특례상장제도를 활용해 예비심사를 통과한 신테카바이오와 브릿지바이오도 모두 헬스케어 기업이다.

문제는 올해 들어 몇몇 기업을 제외하면 바이오벤처의 주가가 대체로 부진했다는 점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사실상 올해 들어 붐을 일으킨 바이오 기업은 에이치엘비·메지온·셀리버리 정도”라며 “전반적인 코스닥 시황이 좋지 않다 보니 테크 기업의 시세에도 악영향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