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주식시장에서 불성실공시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극심한 경기불황 속에 코스닥 상장사를 중심으로 자금조달 계획이나 공급계약 등이 차질을 빚으면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14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가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된 건수는 총 114건에 달해 이미 지난해의 112건을 넘어섰다. 불성실공시 수는 지난 2015년 78건에서 꾸준히 늘어 지난해에도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2년 연속 사상 최대 행진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 등의 발행계획을 뒤집으면서 불성실공시법인이 되는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다. 유상증자 계획을 철회해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된 기업 수는 지난해 7곳에서 올해는 15곳으로 2배 넘게 늘었다. CB·유상증자 발행 액수 등을 공시했던 바와 다르게 대폭 바꾸면서 ‘공시변경’에 걸린 기업 수도 지난해 7곳에서 15곳으로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무자본 인수합병(M&A)이나 주식시장 내 불공정거래가 늘어나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상장사들이 공급계약 공시를 했다가 번복한 경우도 2017년 4건에서 올해 9건으로 늘었다. 정도진 한국회계정보학회장(중앙대 교수)은 “보통 자본시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유상증자나 CB 등의 수요를 받아줄 투자자가 많지 않아 기업들의 자금조달 계획이 틀어지는 경우가 빈번해진다”며 “각 불성실공시법인에서 어떤 패턴이 나타나고 있는지는 들여다봐야겠지만 기본적으론 불경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는 자금조달, 최대주주 변경, 계약 체결 등 주요 투자 사안을 제때 공시하지 않은 상장사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 있다. 불성실공시는 반드시 공시해야 할 사안을 신고기한 내에 공시하지 않거나 허위로 공시한 ‘공시불이행’, 유상증자·계약체결·주식취득 등 기존에 공시한 내용을 뒤집는 ‘공시번복’, 기존에 공시한 자금조달·자산취득 액수를 뒤늦게 바꿔 공시하는 ‘공시변경’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