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IMF, “미중 협상타결해도 韓 수출 53조원↓”

中, 美제품 수입 늘리면 3국에 영향

우리나라 GDP의 2~3% 수준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두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두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앞두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가운데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 일본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이 미국제품 수입을 늘려 다른 수출국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일(현지시간) ‘관리무역: 잠재적 미중무역 협정의 부작용은 무엇일까’라는 이름의 보고서에서 미중 양국의 협정은 서로 상대국 제품을 구매하는 관리무역(managed trade)적 요소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그 결과 미중 양국의 협상 타결은 관세 하락, 정책 불확실성 해소 등에 따라 글로벌 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중국이 과도한 대미 흑자를 줄이고자 미국 제품의 수입을 대폭 확대하면 제3국의 대중 수출이 악영향을 받게 된다고 우려했다. 예를 들어 중국이 전자제품과 기계, 자동차 등 10대 수입 품목에서 미국 제품 수입을 대폭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없애면 EU는 610억 달러(약 71조원), 일본은 540억 달러(약 63조원), 한국은 460억 달러(약 53조원)의 대중 수출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진단했다. 이로 인한 수출 감소분은 한국의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3% 수준이고 독일이나 일본은 GDP의 약 1%다. 10대 품목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수입품을 포함하는 등 분석 방법을 바꿔도 EU와 일본, 한국 등 주요 경제국에 미치는 영향은 역시 컸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시나리오에서 GDP의 2∼3% 규모에 달하는 대중 수출이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