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아세안 정상회의 폐막]인프라·ICT 등 超성장시장 공략 발판

■한·메콩 정상회의

농촌개발 등 7개 분야 우선 협력

기업인協도 설립, 상호 진출 지원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부산 누리마루에서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응우옌쑤언푹 베트남 총리를 영접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부산 누리마루에서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응우옌쑤언푹 베트남 총리를 영접하고 있다. /연합뉴스



3박4일간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일정의 마지막을 장식한 한·메콩 정상회의에서도 경제협력 성과는 이어졌다. 메콩강 유역 국가들이 경제성장률 연 6% 이상의, 초국경적 개발수요가 높은 ‘신흥시장’인 만큼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메콩 협력을 강화해 한강에서 메콩강으로 이어지는 경제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과 메콩 5개국(베트남·태국·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정상들은 27일 한·메콩 정상회의 후 ‘사람, 번영, 평화의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한강·메콩강 선언’을 채택하고 문화·관광, 인적자원 개발, 농촌 개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비전통 안보협력 등 7개 분야에 대한 협력을 약속했다.


특히 경제 분야의 협력이 두드러졌다. 선언문에는 양측 기업인들의 경제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한·메콩 기업인협의회’를 설립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이들 정상은 정상회의를 통해 기업인 공동체의 무역 및 투자 기회 확대의 견고한 토대가 될 한·메콩 기업인협의회 설립과 각국 기업인단체 간 양해각서 체결을 환영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우리나라의 무역협회를 비롯해 6개국의 기업인단체가 참여하는 해당 협의회는 우리나라와 메콩 국가 기업들의 상호 진출을 지원하는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분야의 교류 확대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을 비롯한 6개국 정상들은 “대한민국과 메콩 국가의 민간 부문, 특히 소상공인·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역내사업 및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기업인 간 교류와 협력이 심화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고 밝혔다.

메콩 국가들의 인프라 수요가 높은 만큼 건설 분야 협력사업 확대도 논의됐다. 정상들은 도로·교량·철도·항만 건설 분야 협력사업을 통해 지역 연계성을 증진할 뿐 아니라 메콩 지역의 인프라 개선에 기여한 한국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한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정상들은 바이오 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한·메콩 생물다양성센터’ 설립에도 의견을 같이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생물자원 분야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데, 메콩 국가와 해당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면 대중(對中) 의존도를 낮춰 시장을 다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과 메콩 5개국 정상들은 “메콩 지역의 생물 다양성 보전에 기여하고 상호 협력과 녹색성장 발전을 위해 공정하고 평등한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한·메콩 생물다양성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부산=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