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분기 출생아 수 ‘역대 최소’ 경신…출산율 0.88명

2년째 합계출산율 1.0명 미만 확실시

“3분기 사망자 수, 0.4%↓ ·결혼도 줄어들어”

서울 한 병원의 신생아실/연합뉴스서울 한 병원의 신생아실/연합뉴스



올해 3·4분기(7~9월) 출생아 수가 7만 명대를 기록하며 3·4분기 기준 역대 최소 기록을 경신했다. 합계출산율도 0.88명으로 추락하면서 올해 전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0명을 밑돌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4분기 전국 출생아 수는 7만 3,793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687명(8.3%) 감소했다. 1981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3·4분기 기준 최소 기록이다. 합계출산율도 3분기 기준으로 2008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저치인 0.88명을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의미하며 전년 동기보다 0.08명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3·4분기와 4·4분기에 각각 0.96명, 0.89명으로 추락했다가 올해 1·4분기 1.01명으로 회복했으나 2·4분기 0.91명, 3·4분기 0.88명으로 내려앉았다.


우리나라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인 2.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통상 4·4분기에 출산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올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1.0명을 하회할뿐더러 작년(0.98명)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 밖에도 9월 출생아는 2만 4,123명으로 지난해 대비 1,943명(7.5%)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올해 9월까지 42개월 연속으로 같은 달 대비 최저 기록을 경신 중이다.

3·4분기 사망자 수는 7만 412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17명(0.4%) 감소했다. 연령별 구성비를 보면 85세 이상의 경우 남성은 17.1%, 여성은 42.3%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포인트, 1.4%포인트 증가했다. 3·4분기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분은 3,380명으로 9,751명을 기록했던 지난해 3·4분기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2017년 3·4분기만 해도 자연증가분은 2만 1,925명으로 집계된 바 있다.

결혼이 줄고 있다. 3·4분기 혼인 건수는 5만 3,320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460건(0.9%) 줄어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소였다. 3·4분기 신고된 이혼은 2만 7,571건으로 지난해보다 1,125건(4.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