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생활고 사건 막자" 서울시 관리비 체납가구 조사

휴폐업, 세대주 사망 등 살펴

내년 2월까지 위기가구 발굴

위기가구 긴급지원 절차 /자료제공=서울시위기가구 긴급지원 절차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아파트 관리비 체납 가구를 조사하기로 했다. 잇따르는 가정사 비관 사고에 적극적으로 위기가정을 발굴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겨울철을 대비해 내년 2월 말까지 복지사각지대 위기 가구를 집중 발굴하겠다고 2일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단전·단수 등 기존 29종 정보에서 아파트 관리비 체납·휴폐업 사업자·세대주 사망 가구 3종을 추가해 총 32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기 가구를 찾는다.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3개월 체납자에 대한 집중 조사도 할 계획이다.


일반 가구 외에 모텔·고시원 등 비주택 거주자도 전수 조사할 계획이다. 데이터에 잡히지 않는 위기 가구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민간복지기관 및 통반장과 협력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아예 동네병원·교회·편의점·PC방 등 주민들과 네트워크도 구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최근 일가족 사망사건이 잇따르면서 지자체 차원의 대응을 강화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2일 성북구에서 70대 여성과 40대 딸 3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이들은 전기·가스·수도요금 체납이 없어 위기 가구로 걸러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같은 달 6일 경기 양주시에서도 50대 남성과 두 아들이 사망한 채로 발견된 바 있다.

서울시는 발굴한 위기 가구에는 긴급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더 많은 위기 가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내년부터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재산 기준을 2억4,200만원에서 2억5,700만원으로 완화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