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프랑스 전역서 연금개편 저지 3차 결의대회

철도·대중교통 파업 13일째…교통·물류난 계속

여론의 지지율 반등…여론조사서 62%가 총파업 지지

프랑스의 주요 노조들이 17일(현지시간)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제3차 연금개편 저지 결의대회 개최를 선언한 가운데 마르세유에서 노조원들이 시가를 행진하고 있다. /마르세이유=AFP연합뉴스프랑스의 주요 노조들이 17일(현지시간)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제3차 연금개편 저지 결의대회 개최를 선언한 가운데 마르세유에서 노조원들이 시가를 행진하고 있다. /마르세이유=AFP연합뉴스



프랑스 전국에서 17일(현지시간) 정부의 퇴직연금체제 개편에 반대하는 제3차 총파업 대회가 진행됐다.

17일 파리, 마르세유, 리옹, 낭트 등 대도시 중심으로 프랑스 전역에서는 정부의 연금개편 추진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13일째로 접어든 프랑스 국철(SNCF) 노조의 파업으로 이날 전국의 철도 운행률은 고속철(TGV) 노선은 25% 내외에 불과했고, 파리 지하철 노선도 16개 노선 중 8개 노선의 운항이 중단되고, 나머지 노선의 운행 빈도도 크게 줄었다.


이날 SNCF 기관사의 75.8%가, 철도관제사의 34%가 파업에 동참했다. 항공관제사들도 파업에 합류해 여객기 운항 횟수도 줄었다. 각급 학교 교사들도 3차 총파업 대회인 이날 파업에 합류해 상당수 학교들이 휴교했다. 프랑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전국 초등교사의 25%가, 중등교사의 24%가 파업에 참여했다.

관련기사



이날 결의대회에는 그동안 총파업과 장외집회를 주도해온 노동총동맹(CGT)과 노동자의 힘(FO) 등과 더불어 프랑스 제1의 노동단체인 민주노동연맹(CFDT)도 처음으로 가세했다.

CFDT는 프랑스 정부의 연금개편안 가운데 42개의 퇴직연금 체제를 1개로 단일화하는 방안의 큰 줄기에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지만, 정부가 은퇴 연령을 현 62세에서 64세 이후로 늦추기로 한 것에 반발해 3차 결의 대회에 합류했다.

이날 3차 결의대회의 규모는 아직 정확히 집계되지 않고 있다. 지난 5일 1차 대회 때는 전국에서 80만명(이하 경찰 추산)이 거리로 나왔고, 10일 2차 대회 때는 33만9,000명이 모인 바 있다.

이날 전국 집회는 프랑스 정부가 연금개편안의 세부계획을 발표한 지난 12일 이후 처음 열린 것이다. 프랑스 정부는 현재 직종·직능별로 42개에 달하는 퇴직연금 체제를 포인트제를 기반으로 한 단일 국가연금 체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동에 적합하게 연금제도를 다시 설계하고, 단일연금 체제 도입을 통해 노동 유연성을 높이면서 국가재정의 부담을 줄인다는 목표지만, 노동계는 “더 오래 일하게 하고 연금은 덜 주겠다는 것”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노동계는 개편안 중에서도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연금을 수령하려면 현 법정 은퇴연령인 62세를 넘겨 최소 64세까지 일해야 한다는 방안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